
경대수 국회의원(국방위원회, 충북 증평·진천·음성)은 우리 공군의 비행시설이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경대수 국회의원이 공군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비행시설 78%는 내진설계 안 돼어 있고, 비행장 건축물은 46%만 내진설계가 되어 있었다.
전투기 등의 비행시설(활주로 등)의 내진설계 대상은 총 59개소이나 이중 22%인 13개소만 내진설계가 반영되었고 나머지 46개소는 내진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투기 이착륙을 총괄하는 관제탑 등 비행장 내 건축물의 경우 1,856동이 내진설계 대상이나 이중 861동 46%만이 내진설계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활주로, 관제탑 70%가 내진설계 안 돼.. 내진성능평가도 제대로 안 돼...
특히 전투기 이착륙 핵심인 활주로는 전체의 69%가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았다.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활주로는 대부분 2005년 이전에 준공된 것으로 내진성능평가 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전투기 이착륙의 지휘통제장소인 관제탑의 경우에도 전체의 30%만 내진설계가 반영되었고 나머지는 내진성능평가 조차 이루지지 않았다. 관제탑 중에는 2007년도에 준공되었으나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곳도 있었다.
경대수 의원은 “활주로, 관제탑 등 비행시설은 공군전력의 핵심인 전투기의 이착륙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지진 등의 피해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야 한다”고 밝히며 “빠른 시일내에 내진성능평가를 거치고 보강작업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대책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