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군연구소(AFRL)와 하버드 대학이 센서를 반창고 정도의 크기로 줄여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했다. 3D프린팅기법인 적층가공 방식으로 부드러운 전도성 잉크를 재료기판에 통합하여 신축성 있는 전자소자를 제작, 전자소자를 재료 시트 위에 바로 인쇄할 수 있을 경우,새롭게 무게를 추가하지 않고 ISR능력 발휘가 가능하다. 기술을 실제 장치와 제품에 구현하는 데에는 기초과학 분야 연구 외에도 플렉시블 센서 제작능력 구축이 필요하다. 3D프린팅기술은 향후 1년 내로 전자부품 인쇄가 가능할 정도로 발전하였으나,탄성매체 개발에는 소재과학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한다.3D프린터로인쇄한 센서는 기존 방식으로 제작한 센서보다 비용이 훨씬적게 들며,많은 능력을 제공한다. 현재 센서 설치가 여의치 않는 장소도 많으며, 차세대ISR센서를이용하여 무게를 획기적으로줄일 수 있는 적용 분야도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자료 및 사진 출처 :Next-gen sensors could fit on, and bend like, a Band-Aid, c4isrnet.com, 국방기술품질원 >
2018-02-02 23:51미국 공군이 최근에 첨단 외곽경계체계 플렉스존(FlexZoneTM) 기술을 군용으로 사용가능함을 인증하였다. 플렉스존경계체계는 울타리에 설치되어 절단하거나 타고 오르기 또는 무력으로 돌파하려는 모든 시도를 탐지하여위치를 알려주고 즉시 경보체계를 작동한다. 플렉스존 체계는 캐나다 센스타사가 전 세계 기지에 있는 중요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신호처리장치와센서케이블로 구성되며, 신호처리장치는울타리에 설치되고 센서케이블과 기존 경계체계에 연결된다. 동축 센서케이블의 아주 미세한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된 신호로 울타리의 움직임을 탐지하고 위치를 파악한다. 신호처리장치는고속 샘플링으로 울타리 신호의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첨단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침입신호와환경잡음을 구분한다. 따라서 바람이나 비와 같은 환경적인 영향에 의해 유발되는 오경보를 거의제거하고 탐지확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케이블이 절단되었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자료 및 사진 출처 :NewIntrusionDetectionSystemCertifiedforMilitaryUse,i-hls.com, 국방기술품질원 >
2018-02-02 23:50미국 해군이 DDG51급플라이트-Ⅲ구축함최종 설계단계를 종료하고 5월에 헌팅턴 잉갈스사(HII)에서 이를 건조할 예정이다. 2017년12월에 3차원 ‘구역(zone)’의 모델링을 종료하였고 현재 설계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HII사는플라이트-Ⅲ선도함의상세 설계 및 함건조(DDG125), BIW사는2번함(DDG126)의건조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플라이트-Ⅲ는 센서체계 등을 대상으로 상당한 성능개량이 반영된 설계 내용이 건조 시 구현될 예정이다. 통합대공미사일방어(IAMD)의핵심인 미사일방어레이더 AN/SPY-6(V)가 베이스라인 10전투체계소프트웨어에 통합된다. 플라이트-Ⅲ이전에는 SPY-1D가탑재되었으며 플라이트-Ⅲ에 탑재될 AN/SPY-6(V)는 현재 개발 중이다. AMD도입에 따른 소비전력 증가로 기존 200톤 공조기 5대 대신 300톤 용량의 고효율 공조기 3대와 기존3㎿450V의 가스 터빈 발전기 3대를 4㎿4160V(롤스로이스사) 3대로 대체한다. 함정의 부력 증가를 위해 함미의 스턴(stern) 부위를 확대하고, 기관실 소화용으로 기존의 할론 1301대신 워터 미스트가 설치될 예정이다. <자료 및 사진 출처:SurfaceNavy2018:C
2018-02-02 13:32미국 오비탈 ATK사가 정밀유도폭탄인 6lb 해치트(Hatchet)공중투하탄으로 2018년에 실사격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해치트탄은 작은 장약 사용에도 불구하고 파편 효과는 500lb급 폭탄과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성능은 미 육군의 M1016 박격포및 유도형 다연장로켓체계(GMLRS) 대체탄두 솔루션에 사용되는 살상력 증강탄약(LEO)기술을 통해 달성되는 것이다. LEO기술은 폭발성 자탄 대신,비활성 텅스텐 탄체를 사용하여 폭발 후 불발탄을 남기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다. 해치트탄은 탄체 중앙에 3개의 고정 날개와 후미에 3개의 조종면(작은 날개)으로 설계된다. 또 해치트탄은 가벼워서 대형 항공기에 대량 적재하거나,탑재 용량이 적은 무인체계의 무장에 사용될 수 있다.가볍게방호된 표적에는 한 발을 투하하고, 보다강화된 방호 표적에는 다량의 탄을 투하하는‘조절 가능한 무기’로 활용한다. 오비탈ATK사는 방공체계를 타격할 목적으로 MQ-8C파이어스카우트무인헬기, EA-18G그라울러 전자전기에 해치트탄을 사용하도록 미 정부에 제안했다. 오비탈사는 2년 전에 RQ-21A블랙잭 소형 무인항공체계에 장착하여 비행시험을 실시한 바 있다. <자료 및 사진 출처 :Su
2018-02-02 03:51미국 벨 헬리콥터사가 미 육군용 수직이착륙기로 개발 중인 V-280 발러(Valor) 틸트로터기의 첫 비행을 실시하였다. 미 육군은 국방부 FVL 프로그램의 선행기술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JMR-TD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벨사는 틸트로터기V-280 발러를 개발하여 2017년 10월 지상시험을 완료했다. FVL은미 국방부의 차세대 수직이착륙기 개발 프로그램으로 2024~2040년 중 헬리콥터 20종을 대체하기 위한 5단계규모의 항공기 개발사업을 말한다. 육군의 JMR-TD 및 해군의 MH-XX 사업 등과 연계하는데, V-280의 첫 비행에서는 수직 이착륙 및 15~20분간의 저공 제자리 비행에 국한하여 실시한다. 2018년 1분기까지 수평비행 전환 등 비행 범위를 넓히기 위한 시험을 계속할 계획이다. V-280은 UH-60 중형헬기급의 다목적 틸트로터기로 병력 수송과 공격 등의 임무를 수행할 목적으로 개발 중이다. T64-GE-419 엔진 2기를 장착해 프롭로터(proprotor)를 구동하며, 로터를 기울여 수직· 수평 비행한다. 최대속도 280kt, 항속거리 2,100NM, 전투반경 800NM이다. 승무원 4명과 병사 14명 탑승 가능하다. < 자료
2017-12-28 02:46미국 육군이 추진등재사업화에 앞서 장비수송용 지상로봇 SMET 제작업체로 4개 업체를 선정했다. 선정된 업체는 ARA사-폴라리스 디펜스사 팀, GDLS사, HDT사, H&H사로, 9월 11일~10월 14일 포트 베닝에서 군수지원로봇을 직접 사용한 병사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시연행사에 참가한 업체 중 ARC사, 록히드마틴사, AM 제너럴사, 로보팀사, 키네티크사 등은 제외됐다. 선정된 4개 업체는 각각 플랫폼 20대를 제작하며, 2018 회계연도 4분기에 2개 보병전투여단에 지급하여 1년 동안 병사평가를 실시하고, 결과에 따라 2019 회계연도 2분기에 장비개발결정 예정이다. SMET 체계가 추진등재사업이 되면 4개 업체 중 1개 업체를 최종사업자로 확정하여 2019 회계연도 3분기에 양산계약 예정이다. SMET 플랫폼은 1,000lb(454kg) 중량을 탑재하고, 72시간에 60마일(96.56km)이상을 야지 주행하며, 대당 단가가 10만 달러 이하가 확정된 요구사항이다. <자료 및 사진 출처:Four companies advance to build Army’s equipment transport ground robot, defensenews.c
2017-12-28 02:42미국 해병대가 빠르고 효과적인 결심 수립을 위한 전술결심장비(TDK)를 지원하는 데 VBS 모의훈련도구가 실질적으로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TDK는 해병대 체계사령부 등 관련부서가 공동으로 개발하였으며, 의사결정 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포함된다. TDK의 주요 특징은 고사양 랩탑 컴퓨터, 신속한 중앙처리장치, 그래픽 카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등 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결심장비 체계는 실제 전투 상황 일부를 모의하여 실전과 다름없는 훈련경험을 제공한다. VBS 모의훈련도구를 통해 전술적으로 사고하고, 신속하게 의사를 결정하며,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훈련을 실시한다. 새로운 훈련도구 세트는 시행하기 쉬우며, 해병의 요구사항에 맞게 특화된방식으로 구성 가능하다. TDK는 현재 Wi-Fi 네트워크로 중대급에서만 사용되고 있으나, 광범위하게사용될 수 있도록 사이버 위험 완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TDK가 게임 방식이기는 해도 실제와 같은 긴박감을 가지며 반복을 통한 숙달로 올바른판단력 배양 가능하다. <자료 및 사진 출처 :Virtual battle spaces can help rapid real-world tactical decis
2017-12-28 02:40미 국방부의 차세대 대함미사일인 LRASM이 여러 개의 표적 타격에 성공하였다. 지난주 실시한 시험에서 미 공군 B-1B 폭격기는 LRASM 2발을 다수의 해상표적에 동시에 발사하여 타격에 성공함으로써초기운용능력 달성 전망을 밝게 했다고 LRASM 제작업체인 록히드마틴사가 발표했다. LRASM은 정밀유도 대함 장거리 미사일로서 록히드마틴사 JASSM의 사거리 연장 개량형인 JASSM-ER을 기반으로개발된 것이다. 2009년 미 태평양사령부의 요청에 따라 현대식 공중발사 대함무기를 신속히 배치하기 위해 미 국방고등연구기획국(DARPA)사업으로 개발한 것이다. 미 해군과 공군용으로 설계되었으며, 2018년부터 미 공군 B1-B 폭격기에, 그리고 2019년에는 해군 F/A-18E/F 전투기에 사용 예정이다. 해군 함정이 사용하도록 갑판 설치 발사대를 개발 중이며, 2018년에 시연할 계획이다. <자료 및 사진 출처:Pentagon Tests Next-Gen Anti-Ship Missile From Air Force B-1B Bomber, news.usni.org, 국방기술품질원>
2017-12-23 00:25미국 공군의 GPS 현대화 사업이 일정지연과 수십억 달러의 비용증가가 예상된다고 미 회계감사원(GAO)이 발표했다. 미 공군은 신호 증대, 사이버보안 개선 등과 같은 새로운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GPS III 위성의 개발 및 발사 사업을추진 중이다. 2016년 일정 지연과 넌-맥커디(Nunn-McCurdy) 위반으로 차세대 GPS 운용통제체계(OCX)를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넌-맥커디란 사업이 예산보다 일정액 이상으로 초과 운영되는 경우, 의회의 직접 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규정이다. 미 공군은 일정지연 완화 차원에서 시험일정을 통합함으로써 전반적 계획을 ‘간소화’했으나, 발견한 문제점을 시정하는데 시간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GPS III 위성 10개 중 3개는 이미 발사되었으며, 체계의 호환성을 보장하는운용시험 중 문제가 발생할 경우 아직 발사하지 않은 위성의 인도가 지연되고 있다. 현대화된 군용 GPS 신호인 군용코드(M-Code)를 이용한 GPS 수신기 카드를개발하여 무기체계에 설치하는 데 수십억 달러가 더 소요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4개 군, 특수작전사령부, 미사일방어국에서 설치가 필요한 무기체계는 716개이며, GPS 수신기 카드는 총 100만개
2017-12-23 00:11미 해군이 Mk 38 MOD 2 25mm 화포 무기체계에 무인항공체계 대응(C-UAS) 능력을 추가하기 위해 BAE시스템스사와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Mk 38 MOD 2 C-UAS 키트는 시험 후 2019년 9월에 함정에 탑재될 예정이므로 2019년 3월 31일까지 개발이 필요하다.새로 도입될 C-UAS 능력은 UAS 격퇴에 레이저를 비롯하여 기타 주파수 재밍기술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BAE시스템스사의 광학장치와 사격통제체계를 활용하여 C-UAS 솔루션을 신속하게 개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Mk 38 자동포체계의 C-UAS 능력을 구현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Mk 38 자동포체계에는 TOPLITE 전자광학 센서가 포함된 최첨단 통합 사격통제체계가 장착되어, 주야간 어떠한 기상조건에서도표적 공격이 가능해진다. Mk 38 자동포는 모든 미국 및 NATO 표준 25×137mm탄을 사격할 수있고 발사율을 분당 180발까지 조정 가능하며, 즉각 사격할 수 있는 탄은168발이다. <자료 및 사진 출처:BAE Systems providing C-UAS prototype to USN for Mk 38 testing, janes.ihs.com,
2017-12-23 00:09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3·1정신을 되돌아보는 강연회가 지난 11월 5일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미주조직위원회 주최로 LA 한인타운에서 열렸다. 5일 오후 4시 아로마센터 5층 강당에서 열린 이번 강연회에서는 3·1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원범) 서울본회 회장인 이정은 박사가 ‘새로운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날 강연은 스테판 오 박사의 사회와 LA 한인 원로 목사님의 간절한 기도로 시작되었다. 본 강연에 앞서 클래식 연주 감상과 그간 3.1운동기념사업회에 헌신한 공로로 이정은 박사 외 3인이 캘리포니아주 상원의원과 LA 시의회에서 수여하는 감사장을 받았다. 본 강연에서 이정은 박사는 '자유적 정신, 창조적 생활, 홍익세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3·1정신'을 설명하고 '3.1운동 정신을 되살려 통일된 새로운 1등 국가 만들기에 나서자'고 역설, 청중의 갈채를 받았다. 특히 이 날 강연회에는 도산 안창호 선생의 유일한 생존한 아드님 랄프 안 부부도 참석해 격려하고, '대한독립만세' 삼창을 외쳐 눈길을 끌었다. 미국 각지와 한국에서 온 수백 여 참석자들은 강연이 끝난 후 조국을 그리는 합창을 부르고, 단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참석자
2017-11-23 20:27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워싱턴 현지 시각)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한다고 직접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은 북한을 테러 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합니다. 사실 오래전, 수년전 그렇게 했어야 했다. (should happen to long time ago...years ago.) 국제사회를 상대로 핵 위협을 일삼고, 국제적 테러 지원과 암살까지 자행하고 있습니다. 멋진 청년이던 오토 웜비어를 포함해 수많은 무고한 이들을 잔학하게 살해한 북한을 더 이상 (미국은) 좌시하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트위터를 통해"전략적 인내의 시대는 끝났다. POTUS Donald J Trump 는 '우리는 북한의 억압에 의해 잔혹하게 고통받은 오토 웜비어와 다른 무수한 이들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고 말했다. 북한이 국제적 무법자로 군림해 온 나날은 곧 끝날 것이다."라고강조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국무부 추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에도 불구, 미국은 여전히 외교적 해법을 희망한다." 고 덧붙였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 북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발표는 평양을 방문했던 중국특사가
2017-11-23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