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방산업체 알마즈-안테이사가 러시아 모스크바 지역에서 열린 Army-2018국제군사기술포럼에서신형 부크(Buk)-M3방공미사일체계를 지상에 전시했다. 바이킹으로도불리는 부크-M3 중거리지대공 미사일 체계는 부크-M2 체계의현대식 버전으로 첨단 전자 구성품과강화된 파괴력의 신형 미사일을 갖춘 완전히 새로운 체계다. 부크-M3 바이킹미사일 포대는 이동식 미사일발사대 및 레이더(TELAR) 9A317M2대, 이동식 미사일발사대(TEL)9A316M 차량1대로 구성된다. 부크-M3 체계는신형 디지털 컴퓨터, 고속데이터 교환체계, 원격열상 표적 지시기(종전의 원격 광학 추적기 대체)를탑재했다. 부크-M3미사일 1개 포대는 최대 36개 표적을 동시에 추적해 교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크-M3 체계의표적 파괴 확률은 99.99%에 달하며, 요격사거리는2.5∼70km, 요격고도 15m∼35km로, 최대3,000m/s 속도로비행하는 모든 형태의 공중 표적을 파괴할 수 있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Almaz-Antey from Russia presents Buk-M3 Viking air defense missile system, armyrecognition
러시아 공정부대가 토로스(Toros) 4×4 장갑차를공식적으로 도입했음을 모스크바 인근 Park Patriot에서거행된2018공정부대의 날 행사 사진을 근거로 관측 결과가 발표되었다. 토로스4×4 장갑차는군, 법집행기관, 비상사태부(EMERCOM)등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러시아 INTRAL컨소시엄과 UAMZ그룹이 개발했다. 또한, 장갑차는정찰, 전방관측소, 지휘소, 박격포탑재차량, 레이더, 구급차 및 전자전 등과 같은 광범위한 임무용으로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토로스 4×4 장갑차는공정부대 특수 플랫폼과 함께 다양한 군용 수송기를 이용하여 투하할 수 있으며,지상안착후에는 화력지원,정찰,화물수송 등 능력을 제공한다. BTR-60 섀시를기반으로 하며, 소화기및 포탄 파편에 대해 양호한 방호력을 제공하고 STANAG 4569표준레벨3수준의 방탄력과 레벨2수준의 지뢰 방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파워팩은MMP(Minsk Motor Plant)사의4.7L 터보디젤엔진과 5단 자동변속기탑재,출력은 136hp,최고 도로속도는 85km/h,항속거리는 1,000km다. 승무원 2명과 병사 8명이 탑승한다고 한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Toros 4×4 arm
미국, 중국, 러시아는 스텔스 전투기를 식별·공격하기 위한 초고해상도 광자 레이더를 차세대 전투기에 도입할 예정이다. 러시아는광자 레이더 기술을 군사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광자레이더 기술 분야를 선도하고있는 미 국방부는 레이더,신호정보 등 광자학 기반의 기술개발사업을 진행 중이다. 광자 레이더는 300마일 되는 원거리에서 스텔스 전투기를 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 과학저널 'Scientific Reports'는최근 ‘광대역 신호 생성 및 처리기능을 구비한 광자학 기반 실시간 초고해상도레이더’라는 논문에서 광자학에 기반을 둔 고해상도 레이더가 실시간으로 광학적 생성 및 광대역 선형 주파수 변조(LFM)신호처리와 관련해 성능구현을 위한 개념을 확보했다. 광대역LFM신호는광 주파수 4배화(quadrupling)를 통해 송신기에 생성되며, 수신된반향은 디-첩핑(de-chirping)되어광 주파수 혼합을 통해 저주파 신호가 된다. 디-첩핑은 빛의 주파수/위상이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고주파수 및 큰 대역폭에서 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속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및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실시간
공군은 ‘대한민국 영공을 지키는 잠들지 않는 눈!’ 2018 공군 최우수 방공무기통제사 ‘골든아이’에 공중통제(E-737) 부문 김영범 대위(공사 59기, 만 30세), 지상통제(MCRC) 부문 박형규 준위(방공준사관 5기, 만 35세)를 선발해 9월 5일 방공관제사령부에서 시상식을 개최했다. 방공무기통제사(이하 ‘통제사’)는 최 일선 작전요원으로 조국영공을 침범하거나 KADIZ(한국방공식별구역)를 무단 진입한 항공기에 대항해 전장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아군전투기를 최적의 위치로 유도하는 ‘요격관제’ 임무를 수행한다. 공군은 매년 통제사의 요격관제 능력 평가 및 기량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공중전투 요격관제대회’ 우승자에게 ‘골든아이’ 칭호를 수여한다. 공군은 별도의 부대별 예선을 통과한 통제사들을 대상으로 지난 6월부터 본선 대회를 개최해 ‘학술평가’와 ‘실무기량평가’ 등을 통해 최종 우승자를 결정했다. 공중통제 부문 ‘골든아이’에 선정된 김영범 대위는 2011년 공군사관학교 59기로 임관하며 최 일선 작전요원으로 영공방위 임무를 수행하고자 항공통제 장교에 지원했다. 임관 후 MCRC와 관제대대에서 근무했던 김 대위는 ’17년 7월 제51항공통제비
공군은 9월 4일(화)부터 5일(수)까지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공군회관에서 국내·외 항공우주분야 전문가 9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8 항공우주무기체계 민군협업 발전 세미나』를 개최 중이다. “국방개혁을 선도하기 위한 항공우주력의 동반 성장”을 주제로 개최한 이번 세미나는 이왕근 공군참모총장의 환영사, 남세규 국방과학연구소장, 김영후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부회장의 축사, 조진수 한양대학교 교수의 기조강연 순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진행된 참가자들의 발표 및 토론은 「국방개혁과 항공우주정책 발전」, 「공군 우주력 건설의 도약적 접근」, 「4차 산업혁명과 항공우주력 협력 발전」 등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진행한다. 「국방개혁과 항공우주정책 발전」 세션에서는 아주대학교 홍성표 교수가 ‘미래합동전에 대비한 항공우주력 발전방안’, 공주대학교 이준호 교수가 ‘전자광학 기반의 공군 정보 발전방향’, KIDA 김성걸 선임연구원이 ‘美 미사일방어의 새로운 모색’을 주제로 발표한다. 「공군 우주력 건설의 도약적 접근」 세션에서는 에어버스 社 플로리언 소드케(Florian Sodtke) 마케팅 매니저가 ‘미래 항공우주력(Future Aerospace Power)’,
우크라이나가 2S22 보그다나155mm 첨단차륜형 자주곡사포(SPH)를 개발했다. 이6×6차륜형자주곡사포는 현재 시험 중이며, 8월24일 독립기념일 행사에서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됐다. 우크라이나 군에는 현재까지 155mm구경의 무기가 없었으며,러시아 육군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보그다나 SPH는 고기동성,정밀성,사거리 능력,분당 6발의 빠른 발사속도가 특징이며, 보그다나는 지휘소,장갑부대 및 기계화부대,포병 포대,통신소 및 야전 요새를 파괴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탄도컴퓨터를포함한 현대식 사격통제체계와 장전보조체계를 장착하며, 탄약 20발과 관련 장약을 적재할 수 있는데, 전투중량은 28톤이다. 최소 사거리가 780m,최대 사거리가 40km이며, 특수탄 사용 시 60km의 표적 타격이 가능하다. 우크라이나KrAZ6×6고기동성트럭 섀시에 탑재되며, 승무원탑승실에 장갑을 둘러 소화기 사격에 대한 방어력을 제공한다. < 자료 및 사진 출처 : Ukraine develops new Bogdana 6×6 self-propelled howitzer, defence-blog.com, 국방기술품질원 >
러시아 방산업체 하이프리시젼시스템(HighPrecisionSystems)사가 지난 주 모스크바에서 열린 Army-2018 국제군사기술포럼에서최신 소스나(Sosna) 방공미사일체계를처음으로 공개했다. 소스나 체계는 MT-LB다목적 궤도형 장갑차량 차체에 설치하는 것으로, 요격 사거리 10km,요격고도 5km로 순항미사일,항공기용유도미사일 등 고정밀 무기를 포함한공중표적을 파괴할 수 있다. 소스나 체계는 러시아 군에서 운용되고 있는 SA-13고퍼(Gopher)스트렐라(Strela)-10M방공체계를대체할 것으로예상된다. 소스나 체계는 360°회전하는 포탑에 설치된 2×6소스나-R을 발사대로 사용한다. 이 포탑에는 또한 공중탐색 및 표적추적 장비, 미사일비행 제어장치가 설치되며, 전자방해책에대한 높은 내성을 갖춘 통합 고정밀전자광학제어체계가 여기에 결합된다. 소스나-R 9M337(SA-24)초고속 빔편승 방식 2단 미사일은 유도무기 및순항미사일 뿐만 아니라,고정익 항공기와 헬기를 요격하도록 설계됐다. 이 미사일은 충격/접근 레이저 신관 모드를 사용하며, 2개 탄두(총 무게 7kg)가 장착되는데,파편형 막대 탄두는 표적에 접근해 비행할 때 근접 폭발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러시아 해군이 최근 프로젝트 22350의 선도함인 신형 호위함 ‘고르쉬코프함’을 취역시켰다. 향후 러시아 해군은 고르쉬코프함을 4척 운용할 예정이며 2번함은 2018년 말 해상 시운전에 착수할 예정이다. 고르쉬코프함의 만재배수량은 5,400톤,전장 135m,폭 16m,흘수 4.5m,승조원은 180~210명이라고 한다. 디젤엔진과 가스터빈을 조합한 추진체계를 채택하였고 최고속도는 30㏏,항속거리는 4,500NM 이다. 16 3M55오닉스대함미사일 또는 3M54/3M14칼리브르대함/대지타격 미사일, 9K96Redut 함대공 미사일,RPK-9대잠로켓발사기,3M89팔라시 CIWS,A-192130㎜함포 등과 Ka-27PL대잠헬기를 탑재하고 있다. 세베르노예 설계국은 2018년 개량형 프로젝트 22350M호위함에대한 설계작업에 착수해서, 러시아 해군이 2026년에 고르쉬코프급보다 현대화되고 더욱 커진 첫 번째 호위함을 인수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해군은 10척의 프로젝트 22350M호위함획득을 통해 기존 4,500~5,000톤 호위함과 구축함 간의 공백을 메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프로젝트22350M호위함의배수량은8,0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자
중국이 러시아가 제작공급하는 S-400트라이엄프 방공미사일 1차분을 인수 완료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러시안제 S-400의 첫 번째 해외고객이 되었으며,2개 연대 분량의 S-400미사일을 인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5월에러시아가 해상 인도한 S-400미사일의1차 연대 분량에 관한 인수법률이 최근 서명되었으며, 인수법률이서명된 이후 S-400미사일은 중국의 자산으로 편입되었다. 러시아가 제작한 중장거리 대공미사일체계인 S-400트라이엄프(나토분류명칭 SA-21Growler)는예상되는 현대식공중공격수단을 파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가공할 무기로 알려져있다. S-400미사일은400km거리에서공기역학적 표적과 60km거리에서4.8km/s의 속도로 움직이는 전술탄도표적(순항미사일,전술 및 전략항공기,탄도미사일 탄두)을 격추시킬 수도 있다. S-400미사일 레이더는 600km거리에서 공중표적을 탐지하며,48N6E3유도식대공미사일은 10km∼27km고도에있는 공기역학적표적과 2km∼25km고도에 있는 탄도 표적을 타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China completed acceptance of Russian-made S-
카타르가 러시아제 소화기와 대전차 유도미사일(ATGM)을 구매하며 러시아와의 협력을 넓혀가고 있다. 2017년 10월 카타르와 러시아 간 체결한 군사기술협력협정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거래로, 이 계약은 AK돌격소총,기관총,AGS-3030mm자동유탄발사기,9K135코넷-EATGM납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타르는 추가로 S-400SAM(Surface-to-AirMissile)을 구매할 의사와 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체계 구매협상을 진행 중이다. 카타르가 구매한 칼라시니코프사의 AK돌격소총에는 가스작동식인 AK-101~105가포함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AK-101/AK-102는 5.56×45mm,AK-103/AK-104는 7.62×39mm,AK-105는 5.45×39mm탄을 발사한다. 해당 제품 모두 발사율이 분당 600발,유효사거리는 500m이다. 코넷-E ATGM은5km거리에서대전차고폭탄두로 1,200mm장갑을관통 가능하며, 폭발반응장갑도 파괴할 수 있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1. Qatar increases Russian cooperation with defence purchases, shephardmedia.com, 2018. 7.
러시아는 국가무장프로그램 2018-2027의 일부로 신형 WIG선 ‘오를란(Orlan,Орлан)'을 개발할 계획이다.오를란 위그선은 지표면/수면 위를 낮은 고도로 순찰비행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선이다. 오를란은 북극 해역에서 사용될 항공기로 2027년까지 1차 시제기 제작을 목표로 연구개발이 수행될 계획이다.북극해에 대한 감시 및 구조 임무뿐 아니라,내해,카스피해,흑해 등에서도 운용될 예정이라고 한다. 구소련 해군은 125톤 오를료녹급 위그선 30대를 흑해 및 발트해에 1979~1992년 기간 중 배치 운용하고 있다. 400톤 룬급 위그선을 미사일 발사선으로 개발할 것이며, 오를란은 속도 250mile/h,항속거리 1,000mile,300톤의 적재능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 자료 및 사진 출처 : Russia will have giant Wing in Ground Effect Seaplanes patrolling the Arctic, NextBigFuture.com, 국방기술품질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