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히드마틴사가 고해상도 15인치 센서체계인 INFIRNO 체계를 출시함으로써 자사의 정보·감시·정찰(ISR) 센서 포트폴리오에 새로운 제품을 추가했다고 발표하였다. 이 체계는 야전에서 제거 및 교체가가능하다. 이 체계는 운영·정비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자체 재원 조달을 통해 개발하였다.이 체계가 설치된 차량, 항공기 또는 함정으로부터 센서를 분리하지 않고 성능개량과 야전 정비가 가능하기때문에, 임무수행 능력 계속 유지 가능하다고 록히드마틴사는 밝혔다.고성능 광학적 센서가 포함된 터렛 장착식 INFIRNO 체계를 통해 사용자는 원거리에 있는 다수의 표적을 식별·추적·교전할 수 있으며, 정보·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INFIRNO 체계는 미 육군 Apache 헬기의 표적획득 및 조종센서(M-TADS/PNVS), 미 공군의 저격용 첨단 표적획득 포드(Pod), 미 해병대의 AH-1Z 표적조준체계 등 기존 전자 광학식 적외선 센서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2014-10-27 13:54인도 육군은 최근에 자국이 설계한 주력전차 Arjun MkII에 장착 계획이던 이스라엘 IAI사 LAHAT (레이저유도 대전차) 미사일이 수락기준에 미치지 못해 부적합 판정을 내림으로써 성능개량 플랫폼의육군 도입이 지연되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인도 병기연구개발기구(ARDE)에서 향후 3년 동안 독자개발 하기로 결정하였다고 밝혔다.8월 29일 인도 국방부는 육군이 11억 달러의 예산으로 Arjun MkII 118대 획득을 승인했으나, ARDE가 설계한 미사일체계가운용될 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고 밝혔다. Arjun Mk I에 대해 주요 개선사항으로 언급 120mm 주포에서미사일 발사능력이 없어 Arjun MkII를 육군에 도입하는데 문제가 야기되었다.야간 전투용 첨단 열상조준경을 비롯하여 날개안정철갑탄·대전차고폭탄·휴대용 대전차로켓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된 폭발반응장갑(ERA) 등 주요 성능개량 15건을 포함한 다른 개선사항 80여건 대부분이 광범위한 시험을 거쳐 승인되어 Arjun Mk II에 성공적으로 통합되었으나, 이스라엘제 LAHAT 미사일의 성능부족으로 국방력 증강사업에 차질을 빚게 되었다.
2014-10-27 13:17DCNS사는 2014 Euronaval 전시회에서 공개할 신형 잠수함 SMX OCEAN의 제원을 공개하였다.배수량 4,700톤인 SMX OCEAN 잠수함은 잠항지속시간과 고속잠항에 초점을 두고 개발하였으며, 항속거리는 14,000NM(약 22,140km), 14kts의 속도로 1주일 동안 지속 잠항이 가능하다.DCNS사가 개발한 획기적인 2차 연료전지 추진시스템에 의해 이러한 성능에 도달하였으며, 공기 연료전지 기술과 디젤 개질기(reformer) 기술이 핵심기술이라고 공개하였다. 2차 연료전지에 대한 상세한 소개는 10월 27일부터 개최되는 2014 Euronaval 전시회에서 공개될 예정이다.SMX OCEAN 공격형 잠수함의 경쟁 잠수함은 4,000톤급인 TKMS사의 Type 216, 한국의 장보고 Ⅲ, 4,000톤급인 일본의 Soryu급 잠수함 등이다.DCNS사는 현재 OCEAN함이 개념형성 단계를 마쳤으며, 기존의Baracuda 잠수함 생산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조기에생산 착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4-10-27 00:44대만 해군이 훈련 중에 잠수함에서 2발의 하푼 대함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하였다.미국에서 잠수함 발사용 하푼(UGM-84A)을 획득한 이후 최초의 시험으로, 네덜란드에서 건조한 재래식잠수함인 Hai Hu함에서 발사하였다.대만 해군은 잠수함 무장을 위해 지난해부터 미사일을 획득하였다.대만은 구축함과 F-16에 이미 하푼을 장착한 바 있다. 하푼의 길이는 항공기 발사용인 경우 3.8m이며, 잠수함 발사용은 4.6m이다. 잠수함 발사용인 경우 고체추진 부스터가 장착된다. 하푼의 사거리는 278km이기 때문에, 잠수함 공격능력이증진될 것으로 대만 해군은 기대하고 있다.기존의 대만 잠수함은 어뢰만으로 무장하였다.
2014-10-27 00:38제너럴 다이나믹스사가 AN/PRC-15 2개 채널 휴대용 무전기 및 MUOS (MUOS : Mobile-User Objective System)위성통신체계를 이용하여일련의 무선호출 시험을 완료하였다.시험은 개인 대 개인 무선통화 및 집단 회의 통화 기능과 관련하여 AN/PRC-154A Rifleman 무전기나 기존SINCGARS 무전기 사용자가 PRC-15 MUOS 휴대용 무전기와 연결하여 MUOS 위성통신체계에 접속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제너럴 다이나믹스사 Chris Marzili 사장은 “PRC-15 MUOS 휴대용 무전기는 MUOS 위성통신체계를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성공적으로 연결·지속할 수 있는 유일한 전술무전기이다. 금번시험을 성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PRC-15 무전기는 전방의 고립된 개인 참호로부터 국방부에 이르기까지 병사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상황을 인식하도록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전임 미 육군 교육사령관인 Scot Walace 대장은 “PRC-15 MUOS 휴대용 무전기의 통신 능력이 상용 휴대폰과 같은 명료성을 보이는 등 육군전술네트워크 구현에 있어 큰 진전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2014-10-27 00:28Textron사는 미 육군협회 방산전시회에서 2016년 중반까지 OSRVT(One System Remote VideoTerminal)를 총 3,100대 납품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Textron사는 이 신형 단말을 통해 양방향(bi-directional)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작전 중인무인항공체계에 탑재된 비디오 장치를 제어 가능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종전에는 상황인식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영상을 무인항공기로부터 수신하였고 무선통신을 통해 UAS지상관제국(GCS : Ground Control Station) 운용자를 거쳐야만 했으나, 이제 OSRVT 사용자들은 직접 무인항공기 탑재체 센서를제어 및 조종하여 표적 또는 기타 관심지역을 볼 수 있게 된다.최초 운용시험·평가는 2015년 5~6월 중 실시되어 Gray Eagle,Hunter, Shadow 무인기와 개선된 상호운용성에 대해 검증할 예정이며, 해병대와 미 특수작전사령부는 Shadow 무인기에 OSRVT체계를운용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4-10-27 00:19미 레이시온사가 AGM-65 Maverick 공대지 미사일의 구형 TV 유도 탐색기를 신형 정밀유도 레이저센서로 대체하는 성능개량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미 해군항공체계사령부는 500발의 GM-65A/B 유도통제장치를 AGM-65E2 형상으로 전환하기 위해 레이시온사와 4,95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였다.Maverick 공대지 미사일은 1970년대에 베트남 전쟁 때부터 사용되어 온 정밀무기이다. 초기 모델인 AGM-65A/B는 전자광학식 TV유도체계를 사용하였으나, AGM-65E2 버전은 정밀 레이저유도방식을 채택하였다.레이시온사는 2012년 초 Maverick 미사일의 최신 레이저유도 버전에 대한 시험을 완료하였다.이 미사일은 해군 및 해병대의 F/A-18C/D Hornet 공격전투기, F/A- 18E/F Super Hornet 전투폭격기, AV-8B Harier수직이착륙 전투기 및 기타 전술항공기에서 사격할 수 있다.
2014-10-27 00:11미국 Alcoa사는 육군협회 주관 연례회의에서 현행 조립식 장갑차용 차체를 대체할 목적으로 육군연구소와공동설계한 일체형 단조 알루미늄 차체 제작을 발표하였다. 최첨단 유압식 5만 톤 단조 프레스를 이용하여 2개 시범용 단조 차체를 예상 납품 소요기간 18개월보다조기 생산하게 된다.육군은 현재 내구성을 입증하기 위해 차체에 대한 폭발시험 중에 있다.차체 제조는 적절한 가격의 첨단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급조폭발물과 같은 현행 위협에 대한 방호력을 개선하기 위해 탄생된육군 ManTech (Afordable Protection from Objective Threats Manufacturing Technology)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일체형 차체 구조는 모델링/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를 두었고, 용접부분이 없기 때문에 전통적인 차체보다 급조폭발물 등의 폭발에 대해2배 방호력 제공 가능하며, 차량 중량과 조립시간 절감으로 연비 증가와 수명주기비용 낮출 수 있다. 차체를 일체로 단조하여 3차원 성형함으로써 방호력 극대화 및 중량감소 요건에 맞게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
2014-10-27 00:05벨로루시 BSVT사가 기존 RPG-32 발사기를 기반으로 신형 휴대용 대전차로켓(RPG: Rocket-Propeled Grenade) 발사기를 개발하였으며, 본 신형 무기체계는 인체공학적 특징 대부분을 유지하는 한편 세부적인 규격 및 능력면에서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이 체계는 구경이 105mm, 무게가 4~7kg, 조준거리는 750m로, 새로 개발된 전자식 조준체계의 지원을 받으며, 또한 폭발반응장갑(ERA: Explosive Reactive Armour) 탄두로 700~800mm 장갑을 관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 무기는 RPG-32와 같이 다양한 구경의 탄약을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신형 RPG탄은RPG-32보다 초속 30m가 빠른 초속 140~160m의 속도를 가지고 있고, 시각적 및 소음 특징은RPG-32보다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BSVT사에 따르면, 신형 RPG의 성형장약 및 열압력탄두(thermobaric warhead) 위력은 15~20% 정도 더 강력한 것으로추정되고, 동(同)사는 신형 RPG를 위해 파편형탄두 및 열압력탄두를 포함하여 신형 탄두 개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2014-10-27 00:05레이시온사는 새로운 미 육군 전자전기획관리툴 (EWPMT:Electronic Warfare Planing and Management Tol) 사업 진행 재개와 관련하여 미 육군으로부터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Sotera사가 최초 계약 체결 당사자였으나, 레이시온사의 이의 제기를 받아들여 미 연방법원 결정으로 사업자가 레이시온사로 변경되었다.레이시온사의 Travis Slocumb부사장은 “본 사업을 통해 전투부대에게 필수적인 전자전 임무계획능력을 제공하게 되었다.”라며, “사업의 이점으로 강화된 상황인식, 실행 가능한 정보 및 동기화된 작전 등을 꼽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EWPMT 사업은 복잡한 전자전 임무 관련 계획 및 시행을 지원하는 자동화된 도구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보 및 지형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전자기적스펙트럼에 대한 공통 작전상황도를 제공하게 된다. 이런 성능은육군의 전자전 전문가들이 적의 전자전 신호를 격퇴하고, 미국 및 동맹국신호는 방호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레이시온사는 밝혔다.
2014-10-27 00:04인도는 1978~1985년 구소련에서 BMP-1 약 700대를 수입하여 대부분을 BMP-2나 러시아의 기술이전을 받아 개발한 보병전투 장갑차 Sarath로 대체하였고, 현재 포병과 공병이 운용 중인 소수의BMP-1 엔진과 변속기 성능개량을 위해 자국 내 업체들에게 제안요청서를 공고하였다.인도 정부는 차기 보병전투 장갑차 FICV 사업 추진을 기다리면서 BMP-1 성능개량으로 운용수명을 15년 연장하여 계속운용하길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인도는 120억 달러 규모의 FICV 사업을 부활시켰으며, 외국의 지원을 받아 자국에서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러시아가 제안한BMP-3를 거부한 바 있다.2019~2020년 사이에 예정된 FICV 운용이 시작되면 Sarath가 BMP-1를 대체 가능하게 된다.성능개량 작업을 통해 야지 기동성 향상을 추구하여, 제안요청서 조건에 따라 기존 285마력 UTD-20엔진과 수동 변속기를 자국에서 제작한 400마력 엔진과 자동변속기로 교체할 계획이다.육군 시험이 성공한 이후 1년 내 생산계약을 체결하여 육군 창에서 작업할 예정이며, 시제품 작업을 2015년 2분기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10-27 00:03미 미사일방어국(MDA :Misile Defense Agency), 미 태평양사령부 및 JOHN PAUL JONES 구축함은 중거리 탄도미사일 표적추적시험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하와이 Kauai 지역의 태평양 미사일사격장에서 표적용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하고, JOHN PAUL JONES함이 이지스 Baseline 9.C1(BMD 5.0 성능개량) AN/SPY-1 레이더로 미사일을 탐지·추적하였고,시험 중 수 차례의 사격통제·식별·교전기능을 수행하였으나, SM-3 유도미사일은 발사하지 않았다MDA는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탄도미사일방어체계(BMDS : Balistic Misile Defense System)를 개선·강화하고, 미 파병부대·유럽 동맹국및 협력국가를 위한 유럽지역 미사일 방어 목적의 ‘단계별탄력적 접근전략(Phased Adaptive Aproach)’ 2단계진행을 지원할 예정이다.사업담당자들은 원격측정 및 시험 중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체계 성능을 평가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4-10-26 2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