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DCNS사와 Airbus DS사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Euronaval 2014에서 함재기로 운용될 무인 수직이착륙(VTOL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기인 Tanan을 공동으로 개발하는데 합의하였다.Airbus사는 비행체, 탑재체, 데이터링크 및 통제시스템을 생산하고 DCNS사는 무인기가 최적의 해상작전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무인기를 함정 및 전투체계와의 통합을 담당하게 된다.해상작전용으로 설계되는 Tanan 무인기의 최대 이륙중량은 350kg, 탑재중량은 80kg이며 최대 12시간의 작전 수행이 가능하고 최대속력 80kts, 작전반경은 100NM, 최대운항 고도는 13,000ft이다.DCNS사는 프랑스 병기본부와 Tanan 무인기를 운용하는 수상함을 4,000톤급의 중형급 호위함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Tanan의최초 비행시험은 2016년 말이나 2017년 초에 실시 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 육군은 1981년 이래 운용되어 왔던 Bradley 대체를 위한 차기 보병전투 장갑차로 기존 장비성능개량을 선호하여, 2014년 초 취소하였던 GCV(Ground Combat Vehicle) 사업을 다른 버전으로 부활시키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를 FV(Future Fighting Vehicle)란 사업명칭으로 2019년재개할 계획이다.GDLS사와 함께 GCV사업 기술개발단계 2개 주계약업체 중 한 곳인 BAE시스템사는 GCV관련 성숙된 기술력 과시를 위해2014년 육군협회(AUSA) 회의에서 FTD를 공개하였다. GCV 사업비판가들은 중량을 60톤 이상으로 증가시킨 추가 요구조건을 지적하면서, 저렴한 대안인BAE사/기타 해외업체가 제작한 기존 장갑차를 고려하도록 요구한 바 있다. 의회예산처는 GCV 1,800여 대를 개발·제작하는 데 290억 달러가소요될 것으로 추산했으나, 육군은 변화하는 전투소요 반영, 기술개선사항 포함, 적정가격이 되도록 기존 요구조건 검토 등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장갑차 크기/무게, 탑승병력 수, 포탑 유인화 여부 등 검토와Bradley추가 성능개량 고려의 대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프랑스 병기본부(DGA : Direction générale de l’armement)가 해군 순항미사일(MdCN : Misile de Croisière Naval (Naval cruise misile)) 최종 성능평가에서 시험사격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사격은 프랑스 대서양 해안의 Biscarose 지역 DGA 미사일시험센터에서 10월 27일 실시되었다. 시험사격으로 모든 비행목적을 달성하였으며, 특히 미사일 사거리 성능을 성공적으로 시연하였다고 밝혔다.MdCN 미사일은 2015년에 프랑스 해군 FREMM(FREMM : Frigate European Multi-Mision)다목적 호위함에 장착하고, 2018년에는 Baracuda핵추진 공격잠수함에 탑재할 예정이다. MdCN 미사일은 공중발사 순항미사일인 Storm Shadow/SCALP을 기본으로 보완 개발되었다.Storm Shadow 사거리는 560km 이상이고, MdCN 사거리는 1,000km로 추정된다.MdCN 미사일은 호위함에서는 수직발사대에서, 잠수함에서는 어뢰발사관을 이용하여 발사된다.
러시아 Ruselectronics사가 제18회 모스크바 국제 경찰 및 방산 전시회(INTERPOLITEX 2014)에서원격 관측·감시를 위한 새로운 이동식 지휘소를 공개했다. 지휘소는 자연재해, 긴급사태, 대규모 집회 및 시위군중 등 안전보장 작전 기간 중 운용될 전망이다.미니 밴과 같은 차량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저조도(low-light)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원격 컬러 카메라, 열상 카메라, 비디오 녹화기, 재생 디스플레이 장치, 비디오 영상 무선 송신장비 등이 포함 된다.수집하는 정보는 안전한 주파수를 통해 중앙통제소로 전송할 수 있으며, 비디오 감시장비는 인입식(retractable) 회전 터렛에 설치 가능하고, 감시 카메라가촬영한 영상은 미니 밴 내에 있는 운용자에게 전송된다. 개인휴대형 송신 비디오 및 도보 감시용 무선기능을 갖춘열상 카메라도 구비된다.
미국의 군사전문 매체인USNI News는11월5일자 기사를 통해‘다음 주에 주하에 국제에어쇼에서 공개될 예정인 중국의 차세대 스텔스기J-31이 미 공군의 스텔스 전투기들보다 성능 면에서 더 뛰어날 것이라고 미국의 방위사업체 임원들이 밝혔다.’고 보도했다.최근 베일이 벗겨진 중국의5세대 전투기J-31은 록히드마틴사의F-22혹은F-35와 성능이 동등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Sandia 국립연구소는 버튼식으로 줌 배율을 조절할 수 있어 병사들이 표적에서 눈을 떼지 않고 소총을조준한 상태에서 줌 조정이 가능한 조절식 공격소총용 줌 장치(RAZAR : Rapid Adaptive Zom for Asault Rifles) 시제품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RAZAR 기술은 군용소총용 조준경 외에도 의료영상, 군용 및 조류 관측용 쌍안경, 수렵용 조준경, 고화질의광학 줌 기능 휴대폰카메라 등의 다른 분야에 응용 가능하다.RAZAR 시제품은 능동 광학 줌 체계(active optical zom system)를 사용하여 렌즈간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도 렌즈 표면 곡면을 다양하게 하여 2개 이상 렌즈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며, 와이드앵글 영상을 보거나, 소형의 저출력 체계를 이용한 줌 확대가 가능하다.연구팀은 전압을 초음파 주파수로 인가하여 로터의 진동 및 스크루 작동을 통해 렌즈 굴곡이 가능해졌으며, 초음파 모터 사용으로 인해 영출력유지(zero-power hold)가 가능하여 전원이 상실되더라도 마지막 선정된초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A-10 썬더볼트II (A-10 Thunderbolt II )퇴역과 관련해 퇴역을 바라는 미 공군측과 이를 만류하는 의회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A-10의 퇴역이 연기되면 F-35전투기 도입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미 공군은 현재 A-10의 유지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이 다른 새로운 전투기에 투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A-10은 미 의회의 이번 여름 국방예산 감축안에서 제외되었다.미 공군 F-35 프로그램 책임자인 크리스토퍼 보그단(Christopher C. Bogdan) 중장은 “F-35전투기를 담당·유지하려면 2016년까지 1,100명의 인력이 필요한데, 현재 A-10과 같은 다른 플랫폼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도 포함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A-10를 퇴역시키지 않는다면 경험이 풍부한 인력을 구할 수가 없게 된다” 라고 밝혔다.F-35 생산국인 미국에서 F-35의 운영에 대한 방향성이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이 도입하기로 이미 계약한 F-35 또한 도입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40대의 F-35A를 도입하기로 이미 계약이 되어 있기 때문에 미 공군과 의회 사이의 갈등을
Selex ES사가 캐나다 업체인 Tactical Technologies Inc(TI)사를 인수함으로써 전자전(EW : Electronic Warfare) 능력을강화하였다. TTI사는 전술 교전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TESS : Tactical Engagement Simulation Software) 계열 제품을 포함하여 전자전 분석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전 세계의 고객에게 공급하는 업체다..TESS 제품은 물리학에 기반을 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며, 이를 통해 전자전 제품분석, 특히 전자전 방어분야 제품에 대한 분석 및 지원을 수행한다.Selex ES사는 TTI사 명칭으로 제공될 TTI 포트폴리오를 획득함으로써, Selex ES의 전자전 제품 라인업 강화가 예상된다.Selex ES사로 하여금 전자전 방어제품 추가 개발을 통해 전자전 운용지원태세 유지하고, 전자전 제품 개발을 촉진하고 새로운 제품의 효과성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 Sagem사는 MBDA사와 경량 대함미사일용 적외선탐색기의 개발·생산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10월28일 발표하였다.이 탐색기는 2010년 1월 서명한 Lancaster House 조약에 따라 착수된 프랑스·영국 공동사업인ANL/Sea Venom 미사일용이다.Sagem사는 MBDA사의 협력업체로서 MICA IR, Mistral, MMP용 적외선탐색기를 개발·생산한 바 있다. ANL/Sea Venom 차세대 전술미사일은 다양한 헬기에 배치 예정이며,Sea Skua 및 AS15T 미사일 등과 같은 미사일을 대체할 예정이다.비냉각 탐지기를 기반으로 하는 Sagem사 탐색기는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작동하며, 수상 및 지상표적의 획득과 추적을 지원한다.탐색기는 영상을 항공기 조종실로 전송하여 미사일 비행 중 표적을변경하거나, 정밀한 타격지점을 선정할 수도 있다. 용어설명※ MICA : Misile d’interception, de combat et d'autodéfense (요격, 전투 및 자체방호 미사일)※ MMP : Misile Moyene Portée (중거리 미사일)
러시아 산업통상부는 자국 군수산업체가 로봇체계와 무인지상차량(UGV) 개발용 로드맵을 작성하도록하는 입찰제안서를 발표하였다. 계약 규모는 48만 8,000달러이며, 입찰서 제출 마감일은 10월 27일, 결과 발표는 10월 29일, 납기는 2015년12월 20일이다.입찰제안서의 목적은 군용 로봇 개발을 위한 2030년까지의 로드맵을 작성하는 것이라고 웹사이트를통해 발표했으며, 수주업체는 국내·해외 사례를 검토하고 적절한 산업기술 개발에 대해 예측하게 된다.러시아 방산업체들은 미래 전장에서 로봇체계가 차지할 위치와 요구체계 형태에 대한 지침 마련이 되어 있지 않아, 첨단 UGV를 개발하기 위한 업체 노력에서 방향과 중점이 부족하다고 자평하고 있다.대형 지상체계 제작업체인 Uralvagonzavod사는 로봇 사업부를 만들었지만, 연방 사업이 방향성을 제대로 제시하고 있지 못하여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러시아산업통상부는 2014년 3월 탄도미사일 시설방호용 UGV 배치계획을 발표하였다.
러시아 해군은 개량형 Project 85M Yasen급 공격잠수함 ‘Kazan’함을 2016년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Yasen급의 개량형인 Kazan함은 2014년에 취역한 Project 85M Yasen급 선도함인 Severodvinsk함과 비교하면 탑재 센서류와 무기시스템에 많은 개량이 이루어졌고, 정숙성 역시 상당히 향상되었다.K-329 Severodvinsk함은 1993년 진수된 이래 예산문제 등의 사유로 건조가 상당기간 지연되었고, 러시아 경제가 부활하면서 탄도미사일 잠수함인 Borei급 건조에 우선순위를 두다보니 2010년까지건조가 계속 지연되었다.따라서 Severodvinsk함은 비록 강력한 성능의 공격형 잠수함이지만 실전배치 전에 탑재 장비들의 상당수가 이미 구형 상태가 되어 있었다.러시아는 Yasen급 잠수함을 적어도 8척 이상 보유하기를 원하고 있고, 현재까지 4척이 계약되었으며3번함은 2013년 7월에 진수하였다.또한 구소련의 Typhon과 Delta Ⅳ급 구형 잠수함을 대체하는Project 95 Borei급 탄도미사일탑재 잠수함 10척에 대한 보유 계획도진행 중이다.
중국의 함재기용 J-15 전투기가 차기 항공모함에 설치될 사출장치에 의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착륙장치의 설계를 변경 중이라고 중국의 국영 언론사인 Global Times지가 밝혔다. 이 매체는 신형 J-15 전투기의 착륙장치 회수 잭(jack)의 두께가 초기 모델에 비해 두꺼워졌으며, 앞바퀴 역시 사출장치와 급정지고리(aresting gear)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변경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중국 군사전문가들은 항공모함에 사출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고, 현재 함재기로 개발되는 J-15의 운용기간도 20~30년인 점을 감안한다면 사출장치에 의한 이·착륙 시스템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중국은 차기 항공모함에 설치할 이·착륙 장치로 스팀 사출장치를 고려하고 있지만, 강도가 취약하고랴오닝함 같은 중(中)형급 항공모함에 설치·운용하기에는 크기도 큰 어려운 점이 있다.따라서 군사전문가들은 미 해군의 신형 항공모함에 설치하고 있는 전자기(Electromagnetic) 사출장치가 차기 중국해군 항공모함의 이·착륙시스템에도 적합할 것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대만의 해양탐사선인 Ocean Researcher Five함이 지난 9월 초에 Penghu섬 연안에서 침몰함으로써장거리 순항미사일 개발사업에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한 매체가 보도하였다.이 함정의 침몰에 따라 Yun Feng 미사일은 개발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중단 위기에 몰리게 된 것이다.Yun Feng 미사일은 속도가 마하 3에 달하며 사거리가 1,200km 였으나, 이를 2,000km까지 연장을 위해서 실험을 하고 있었으며, 침몰한해양탐사선인 Ocean Researcher Five함은 해상에서 이 미사일의 탄도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었다.이 미사일의 탄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Ocean Researcher Five함은 위상배열레이더를 탑재하고 은밀히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함정의 목적을 감추기 위해서 해양탐사선으로 위장하고 있었으나, 침몰함에 따라 극비리에 수행했었던 임무들이 공개되게 된 것이다.대만이 이미 개발에 성공한 Yun Feng 미사일의 사거리를 2,000km까지 연장에 성공하게 될 경우 중국의 우한 및 상하이 등 주요 도시가 사정권에 들게 된다. 또, 함정에 장착하게 될 경우 사거리 연장 효과가 있어 베이징도 사정거리 안에 들 것으로 분석된
최근 군 장비들에 각종 문제가 발생하자 군수물자 납품을 담당하는 방위사업청이 언론으로부터 난타를 당하고 있다. 게다가, 방산비리의 온상으로 지목된 방위사업청을 정부와 여당은 아예 폐지하려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야당인 새민년 의원들은 주장을 하고 있다. ‘방피아’, ‘군피아’ 란 용어가 언론에 난무하며 방위사업청 관계자 전체를 비리집단으로 매도를 하고 있지만, 전문성을 위해서는 군사무기 체계에 밝은 군 출신들이 방위사업청에 들어오는 것에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투명성만을 강조하다 보면 군사무기체계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하는 인사들이 방위사업청에 들어올 수 밖에 없게 되는데, 과연 제대로 된 무기도입이 이루어질지 의문이다. 일부 방사청 직원들이 방산비리에 연루되었다고 언론들이 보도하고 있지만, 이런 부분은 제도개선을 통해 시정할 수 있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방위사업청이 방산물자 조달만 하는 부서로 알고 있지만, F/A-50, K-9 자주포 등 국산 방산물자들을 해외시장에 수출하기 위해서 불철주야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가 개발한 첨단기술들이 해외에 수출되는 과정에서 불법으로 유출되어 적성국에 넘어가지 않을까 밤잠을 설치는 방위사업청 수출담당 직원
BAE시스템사는 호주 남부의 Womera 시험사격장에서 8월에 실시되었던 지상 실사격 시험이 성공적이었다고 미 육군 신형장비 전시회(AUSA)에서 밝혔다.첨단정밀타격무기체계(APKWS : Advanced Precision Kil Weapon System)가 FZ90 로켓 모터 및 탄두에 조립된 7발을 사격하여 전부 표적에 명중하였으며, FZ 로켓과 통합하기 위해 유도 키트에 요구되는 수정사항은 없었다고 밝혔다.BAE사는 금번 시험에 이어 호주 육군이 1월에 실사격 비행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APKWS 로켓을 육군의 Airbus Helicopters사 Tiger 무장정찰헬기(ARH : Armed Reconaisance Helicopter), 해군의 MH-60R Seahawk플랫폼에 2015년부터 배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 시험은 표준 무유도 70mm 로켓을 정밀 레이저 유도무기로 변환시키는APKWS 기술을 처음으로 FZ 로켓을 통해 시연하였다. 현재까지 APKWS는 Hydra 로켓에만 사용하여 2012년 미 해병대가 운용하기시작했으며, 경량·비장갑·장갑표적을 타격하는 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