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방부가 성능개량형 시투름(Shturm)-S자주대전차 유도미사일(SPATGM)체계를 인수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개량형 시투름-S전투차량 22대가 납품검사를 통과했으며,추가적으로 차량 8대를 종합수리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러시아군은 충분한 수량의 첨단 무기를 도입하기 전에 전투능력 유지를 위해 시투름-SSPATGM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무기를9M123흐리잔테마 및 코넷-D1체계로 대체할 계획이다. 시투름-S체계는 러시아가 제작한 신형 무선 링크를 장착했다. 이 체계의 가장 최신형인 시투름-SM(9P149M)은 사거리가 6km이며 열상 TV조준경을 구비하고 있다. 성능개량형 시투름-S(9P149)는 아타카 미사일을 사용해 5km거리까지 사격 가능하며,발사율은 분당 3~4발이다. 미사일 12발을 탑재하는 자동장전기가 통합되어 있다. < 자료 및 사진 출처 : Russia reintroduces Shturm-SM SPATGM, janes.ihs.com, 국방기술품질원 >
미국 DARPA가 5년에걸친 최대 15억 달러의 자금을 투자하여 전자기술 부흥 계획(ERI)에 따른 6개 사업에 참여할여러 업계·학계 팀을 선정했다.국방부는 전자 기술이 양자 컴퓨팅,인공지능,첨단제조,우주,생명공학을포함한 국방부 최우선 기술 중점분야를 뒷받침한다고 언급했다. 미 DARPA가추진하는 ERI에는 아키텍처,설계,소재·집적이라는 3개의 부문으로 나뉜 6개의 사업이 포함된다. 아키텍처 부문의 소프트웨어 기반 하드웨어(SDH) 사업은 데이터와 작업 부하에 맞춰 컴퓨팅 아키텍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하는 것이다. 아키텍처 부문의 도메인 특화 단일 칩 시스템(DSSoC) 사업이 있다. 그리고 설계 부문의 전자자산 지적설계(IDEA) 사업은 사용자가 빠르게 전자 하드웨어 체계의 물리적 설계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설계 부문의 고급 개방형 소스 하드웨어(POSH) 사업도 포함된다. 소재·집적부문의 3D모놀리식단일 칩 시스템(3DSoC) 사업은 단일기판에 3차원으로 미세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소재,설계도구,제작기법을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소재·집적 부문의 신규 컴퓨팅 필요 기반(FRANC) 사업도 있다. DARPA의 미세전자 기술에 대한
러시아 국방부는 아방가르드 극초음속 미사일 체계가 양산 단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러시아전략미사일군은 국가의 군사적 안보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방가르드(Avangard)극초음속미사일체계 배치를 준비했다. 러시아방산업체가 새로운 활공 순항 탄두를 장착한 아방가르드 미사일체계 개발을 완료했고, 양산체제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아방가르드 극초음속 미사일 체계는 어떠한 대응방어체계도 확실하게 돌파할 수 있는 전투 능력이 특징이다. 아방가르드 극초음속 미사일체계는 기존의 미사일 대응방어체계로 대응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방가르드는밀도가 높은 대기층의 수십 km고도에서비행하는데,이활공 비행체는 마하 20이상의극초음속으로대륙간을 이동할 수 있다. 아방가르드는표적을 향해 이동할 때, 수천km거리를이동하면서 횡적 또는 고도 면에서 제어된 방식의 기동이가능하여 미사일 대응 방어체계가 비행을 예측할 수 없도록 만들고,정보및 무기체계 운용지역을 회피할 수 있다. 아방가르드는미사일 대응 방어체계의 최적 요격 고도보다 낮은 궤도를 따라비행하므로 단거리 요격 미사일로도 대응이 어렵다고 평가되고 있다. < 자료 및 사진 출처 : Russia complet
지난 6월 리투아니아에서 이루어진 연합 훈련 중 미국 육군 스트라이커 장갑차 4대가 추돌한 사고에 대해 한 블로그게시물에 미군이 일으킨 사고로 현지인 어린이가 사망했다는 조작된 사진이 게시되었다. 리투아니아 국방부 장관은 조작 사건에 대해 해당 훈련 및 방어 강화를 위한 양국의 노력에 비난을 유도하기위해 의도적이고 조직화된 시도였다고 언급했다. 현실을왜곡할 수 있는 능력은 이른바 ‘딥페이크(deepfake)’기술발전을 통해 새로운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딥페이크 기술이란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까지도 속일 수 있는 음향 녹음물 및 동영상 녹화물 제작 기술을 의미한다. 신기술은 외국 정보기관이 해당 개인을 협박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실제있었던 회의 기록을 조작하여논의된 내용을 바꾸어 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과거에는미국을 위협하는 데 항공모함 10척과 핵무기, 장거리미사일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매우 사실적인 가짜 동영상을 제작할 능력만 있으면 된다고 한다. 누군가의 동영상을 다수 수집한 후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입술이나 얼굴의다른 부위를 변경함으로써 해당자가 완전히 다른 내용을 말하는 것처럼 보이게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허위를 밝힐 수는
우크라이나 KrAZ사가 팬 전자석 클러치, 시동 예열기, 흡기다기관 전열기 및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신형 6×6KrAZ-6510TE트럭 트랙터를 출시했다. 신형 6x6KrAZ-6510TE트럭 트랙터는 460hp의 6기통 직렬 엔진,6단 자동변속기 및 유압 윈치를 탑재했다. KrAZ사는 세계적 수준의 10대 자동차 제조업체로 차량의 기술적 요건은 고객이 결정한다. KrAZ-6510TE 트럭트랙터는 견인력 15t의 수동 유압윈치와 63m의 로프가 운전석 뒤쪽 차체 프레임에 위치하고 있다. 차량 총중량 28t,예비바퀴 사용 시 최대 허용하중 17t이다. 트럭 트랙터와 세미 트레일러 65t결합 시,최대 속도는 65km/h이다. 종등판 능력 36%(19°),횡등판 능력 20°,도섭깊이 1.20m,선회반경 10m이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New 6x6 truck tractor KrAZ with automatic transmission, armyrecognition.com, 국방기술품질원 >
벨라루스 육군이 민스크에서 열린 독립기념일 열병식에서 LLCBSVT사가궤도형 섀시에 기반을 두고 개발한 켄타우로스(Centaur) 무장 무인지상차량(UGV)을 공개했다. 켄타우로스UGV는 대테러부대, 정찰부대, 도시지역작전부대 등이 수행하는 원격정찰 및 화력지원 임무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졌다.자동모드에서 탐색 또는 순찰임무를 수행함으로써 주변 방호 또는 특정 대상 방어에 사용 가능하다. 병사1명이 5,000m떨어진UGV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병사의 안전이 보장된 상태에서 전투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켄타우로스 UGV의 주요 기능은 군부대가 원격운용 및 반자율 지상차량으로 직접사격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최대 사거리가 1,000m인 4총신 GShG-7.62회전식 기관총 2정으로 무장한 포탑을 장착했다. 최대 1,000m거리의 지상표적과 최대 속도 300km/h로 비행하는 공중표적 파괴가 가능하다. 첨단 전자광학 체계를 갖추어 제어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표적을 탐지 및 인식할 수 있으며, 모터구동식이어서 기동성과 성능이우수하여 모든 지형에서 전천후 사용이 가능하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UGVNew armed robot Centaur unvei
LIG넥스원(대표 김지찬)과 한양대학교(총장 이영무)가 국방 및 해양산업 핵심기술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을 본격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LIG넥스원은 18일 안산시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에서 김지찬 대표이사와 이영무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방위산업과 해양산업의 핵심기술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산・학 협력 협약서’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LIG넥스원’과 ‘한양대학교 미래해양연구센터’는 해양 분야를 중심으로 국방・산업 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과제를 공동 수행하게 된다. 또한 △혁신클러스터 기반 구축 △기술자문・정보공유 △인적교류・교육지원 등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산학협력활동을 추진하게 된다. LIG넥스원은 수상함 및 잠수함 소나체계부터 항만감시체계, 수중유도무기, 무인수상정・잠수정에 이르기까지 해상 및 수중 전장환경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무기체계를 개발해 온 만큼, 한양대학교 미래해양연구센터와의 협력을 통해 해양 분야에서의 기술역량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지찬 LIG넥스원 대표이사는 “LIG넥스원은 40여년간 대한민국 자주국방을 위해 첨단 무기체계 연구개발 및 국산화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번 협약식이 해양분야
미국 국방부는 중국산 칩의 보안 문제에 대한 의문이 제기됨에 따라 미세전자장치에 대한 투자 강화를 고려 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방부는 중국의 미세전자 기술 투자에 대한 우려에 따라 고성능 칩 뿐만 아니라 미국 내에서 제작된 믿을 수있는 칩을 찾는 중이라고 한다. 미세전자기술은 미 국방부의 큰 관심사이며, 이는 국방부가 보유한 모든 무기체계에 미세전자 장치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20년대 초까지 미국의 능력을 따라잡기 위해 1,50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고, 2030년까지는해당 기술을 선도하는국가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중국산 칩이 미국에 위험 요소가 되는 데에는 악성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칩에 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항공기항전 장비에서부터 유도무기체계에 이르는 모든 미군 장비에 칩이 사용되고, 특히 상용 기성품의 경우 상당수가중국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은 자체 칩 개발에 자금을 더 투자하는 방안과중국산 칩의 악성프로그램 여부 검사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나 어려운문제라는 입장이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Pentagon Investing in Microelectronics Techn
러시아 NNIIRT사가 수출용으로 판매 중인 최신형 1L122E시리즈방공 레이더 체계 2종의 상세 정보를 공개했다.이번에 공개된 2종은 이동식 레이더인 1L122-1E모델과 고정식 지휘·정찰 장갑차(ACRV)용 1L122-2E모델이다. 이 두 방공 레이더는 항공기,헬기,순항미사일,무인기를 포함한 다양한 표적 탐지가 가능하다. 신형 방공 레이더는 피아식별(IFF)능력을갖추고 있으며 고도의 자동화를 통해 운용자의 피로를 경감토록 설계되었고,탐지거리는 1L122-1E레이더가 최대 40Km,1L122-2E레이더는 촤대 80Km까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식방공레이더 1L122-1E는 무게가 각각 30kg 이하인휴대 가능한 모듈 및 부품으로 분해 가능하며, 설치하고자하는 위치에서 빠르게 재조립할 수 있다. 삼각대의 다리 3개는 모두 지형에 맞춰 조절 가능하다. 궤도형MT-LBus장갑차용1L122-2E는 ACRV의 지붕위에 가위 형태로 고정 설치되었다. 표준 ACRV는 완전 수륙양용 차량이지만 레이더 차량은 수륙양용이아니며,차체뒤쪽에 보조동력장치가 설치되어 주엔진이 꺼진 상태에서도 레이더와 기타 하부체계를 작동할 수 있다. < 자료 및 사진 출처 : Russ
세계 최장 사거리의 러시아 신형 S-500지대공 미사일체계가 생산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S-500은지극히 먼 거리에서 탄도미사일과 위성을 포함해 고고도 표적을 요격할 수 있고, 일부매체에서는 스텔스항공기도 타격 가능하다고 보도하고 있다. 진위 여부는 논란 중이다. 러시아가 실시한 발사 시험에서 S-500지대공 미사일체계가 299마일 거리에 있는 표적을 성공적으로 타격한 것으로 전해진 바 있다.이러한 사거리는 지금까지 알려진 어떠한 미사일의 시험 사거리보다 50마일은 더 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시험발사에 사용한 미사일은 S-300V4체계의 9M82MD미사일을 개량한 것으로 보도되었는데,S-400체계에 사용되는 사거리 250NM의 40N6미사일의 파생형일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9M82MD는 러시아 노바토르사가 개발한 장거리 중(重)형 미사일로,사거리는 250NM이며,속도는 마하 7.5정도다. S-500체계는공기흡입형 표적에 대해서 중량 약 2톤, 유효사거리240km인 48N6계열미사일을 사용하며, 사거리가더욱 긴표적에 대해서는 더 월등한 성능의 40N6 미사일버전을 사용하며, 더욱사거리가짧고, 무게도더 가벼운 9M96 및9M100계열미
이스라엘 IMI사 및 IAI사가 현재 램페이지(Rampage) 미사일로 불리는 신형 공대지 미사일 개발 막바지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회사는 합동으로 표적으로부터 150km거리에서발사할 수 있고, 적이탐지할 수 없도록 설계한 신형 미사일을개발했으며, 이스라엘공군은 이 미사일 전력화로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정밀 타격능력을 한층 개선할 것으로 전망된다. 램페이지미사일은 표적으로부터 150km 떨어진거리에서 제트 전투기에서 발사하도록 설계됐으며, 이는적의 탐지 및 요격체계의영향이 미치는 범위 밖에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어 적이 탐지 및 요격체계로 이 미사일을 탐지해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램페이지미사일은 길이 4.7m이며, 로켓엔진을 포함해 중량이 0.5톤, 상대적으로작은 탄두(무게 약 150kg)을 장착한다. 램페이지 미사일의 특징은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고도의 정확도로 타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파편의 범위를 통제하고 모니터링하는 능력이 포함되며, 부수적피해를 최소화하면서 고도의정확도로 타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미사일의탄두는 GPS체계에의해 유도되므로, 주야간 그리고 안개 및 구름을포함한 모든 기상조건에서 표적을 타격할 수
미국 해군이 최신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토마스 허드너함(DDG116)을2018년 12월에 취역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DDG116은 66번째이자 GD사 산하 BIW조선소에서 건조된 36번째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이다.2015년 기공 후, 2017년 4월 진수와 2018년 6월 인도를 거쳐 2018년 12월에 취역할 예정이다. DDG116은이지스 베이스라인9 전투체계가포함되어 첫 번째 Flight-ⅡA기술이도입된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으로, 만재배수량 9,200톤,전장 156m,폭 20m이다. 가스터빈 4기를 탑재한 COGAG추진방식으로 최고 속도 31㏏다. 이지스베이스라인 9에는 통합대공미사일방어(IAMD), 탄도미사일5.0능력성능개선(BMD5.0CU),해군통합대공화력통제체계(NIFC-CA)가포함된다. 즉, 이지스함 및 항공기 센서,SM-6대공유도탄을 네트워크로 통합,적 순항미사일 및 항공기를 탐지·추적·요격하는 체계인 셈이다. <자료 및 사진 출처 : Russia Unveils Katran Rotary-Wing UAV, uasvision.com, 국방기술품질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