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국방부 대변인은, 육군은 현재 계획에 의해 푸마 IFV를 갖춘 부대가 참여하는 최초훈련연습을 4월에 시작할 예정이며, 시험 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독일은 노후되고 있는 마더(Marder) IFV를 교체하기 위해 신형 푸마 IFV를 도입할 예정이며, 최초 계획으로는 푸마를 400대이상 조달하려고 하였으나 최근 독일 군 개혁에 따라 현재는 약 350대로 축소될 전망이다.푸마 장갑차의 최종 형태인 신형 버전은 30mm포, 스파이크(Spike) 대전차 유도무기(ATGW) 발사기MELLS와 동축기관총을 탑재하고 있다.독일 국방부가 최근에 실시한 감사결과를 보면, 이 장갑차용 신형 대전차 유도미사일(ATGM) 체계는 2018년까지 전투준비 상태에 도달하지 못할 것으로 판명됐다.
2015-04-01 12:39중국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는 처음으로 이동식 발사대에서 DF-31B ICBM 시험발사에 성공했다.이동식 발사대는 광대한 중국의 영토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이 21개 정찰위성 모두를 사용하더라도 발사위치 탐지가 어려운 상황이다.DF-31B 미사일 주요 특성은사거리는 11,200km이고 다수의 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S자 궤적으로 비행하여 요격을 회피할 수 있다.발사시간이 짧아 발사 후 궤도 진입에 5분밖에 소요되지 않는다.중국의 핵미사일 전력은 구형 지하저장고 미사일과 5종의 도로이동식 미사일로 구성되어 있다.도로이동식 미사일로는 DF-31/DF-31A 장거리 미사일, DF-41 ICBM, DF-26C 중거리 미사일 및 DF-21준중거리 미사일 등이 포함되어 있다.DF-21 미사일은 핵탄두과 재래식 탄두를 모두 탑재할 수 있으며, 대함미사일 버전도 갖추고 있다.DF-21 미사일은 위성공격용 미사일로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5-04-01 11:04보잉사는 함정 설치용 고체 레이저(SSL)의 정밀 빔 제어체계를 제작하기 위해 해군연구처(ONR)와2,95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빔 제어체계는 육군을 위해 개발한 트럭설치 레이저체계에 기반하고 있다고 밝혔다.해군 체계의 경우, 레이저는 잠재적으로 바다 물보라와 기타 열악한 대기조건이 형성될 여지가 많은해상환경에서도 운용이 가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레이저 빔의 정확성과 기능성을 갖도록 빔 조준점을 잘 선정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어야한다.보잉사는 이 사업과 관련하여 레이저 제작보다는 빔 제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또한 해군 계약이외에도 지상군 요원들이 가방 안에 휴대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체계 개발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개인 휴대용 레이저 무기체계는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의 무력화와같은 임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용어설명※ SSL : Solid State Laser※ ONR : Office of Naval Research
2015-03-31 20:38NASA는 새로운 형태의 X-plane 개발을 예측하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항공기 날개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LEAPTech wing’ 이라 불리는 이 날개는 18개의 엔진을 윙 앞단에 나란히 장착, 일반적인 항공기 날개보다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형태이다.인산철리튬(LiFePO4) 밧데리로 구동되는 18개의 소형 엔진이 프로펠러로 공기를 날개 위로 불어내어 양력을 발생시키고 항공기를 추진하는 방식이다.X-plane은 미국에서 새로운 기술과 항공역학 개념을 실험하는 항공기, 헬리콥터, 로켓을 통칭하는 단어로 주로 NASA가 미 공군과함께 운용하며 대부분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시험이 행해진다.이 날개를 장착한 항공기는 FAA가 권장하는 소형항공기 이륙거리보다 700ft가 짧은 2,000ft의 이륙거리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LEAPTech은 짧은 시간 안에 큰 양력을 발생시켜 항공기 이륙에폭 31ft의 소형 날개를 필요로 하며 순항 시 엔진의 일부만 가동한다.개발계획에 의하면 LEAPTech 항공기는 시속 200마일의 순항속도를 내며, 전기로 230마일, 하이브리드 형태로 460마일 비행이 가능하다.용어설명※ LEAPTech : Leading Edge
2015-03-31 20:28인도해군이 건조 중인 Mk Ⅳ project(Yard 2095) 다목적상륙정(LCU)의 4번함이 콜카타에 위치한GRSE사에서 진수식을 거행했다.인도해군과 GRSE사는 2011년 9월, 8척의 상륙주정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상륙작전 시 주력전자, 장갑차 및 상륙병력 수송 임무를 수행하는 LCU는 전장 63m, 함폭 11m, 배수량은 약 830톤이며 최대속력은 15kts, 항속거리는 1,500해리, 탑승인원은 상륙병력 160명을 포함한216명이다.1840kW 용량의 디젤엔진 2기에 의해 추진되고 추진시스템 통제와 주·보조발전 장비를 원격으로 조종하는 첨단 통합플랫폼관리체계(IPMS)가 설치되었으며, 인도산 CRN-91 30mm 함포가 탑재되어 있다.Mk Ⅳ 상륙주정의 건조는 인도가 순수 자체 기술로 첨단 함정체계를건조하는 새로운 분기점을 이루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1, 2번함은 2014년 3월과 9월에, 3번함은 금년 1월에 각각 진수하였다.용어설명※ LCU : Landing Craft Utility ※ GRSE : Garden Reach Shipbuilders and Engineering LTD.※ IPMS : Integrated Propul
2015-03-31 15:32오스트리아와 벨기에가보유한 GDELS-슈타이어(Steyr)사 제작 6×6 병력수송장갑차 판두르(Pandur) 1 성능개량을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이 사업으로 RUAG 디펜스사가 벨기에 보유 판두르1 최대 70대와 오스트리아 보유 판두르 1 최대 59대를 개량형 탄도방호키트로 성능개량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벨기에와 오스트리아 군이 운용하는 판두르1 장갑차 5개 버전 모두가 성능개량되며, 양국 사업은2020년까지 완료 예상된다.성능개량에는 RUAG사의 수동장갑체계인 마인프로(MinePro)와 사이드프로(SidePro)-KE-IED를장갑차 하부와 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포함된다.판두르1 성능개량 패키지는 품질인증 과정을 거친 다음, 양산에 착수할 계획이다.RUAG사의 이번 성능개량은 오스트리아가 판두르 I에 대해 실시하는 두 번째작업으로,오스트리아는 코소보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 판두르1 차체를 보강하고 내부 무기적재 공간 및좌석 개량 등을 통해 승무원 생존성을 개선하는 성능개량에 착수한 바 있다.
2015-03-31 15:10미 록웰 콜린스사는 해리스사의 Falcon III AN/PRC-158이나 AN/PRC-117G 같은 전술 무전기에자사의 MicroGRAM GPS 수신기 공급 계약 체결을 통해 GPS 항(抗)재밍 능력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록웰 콜린스사는향후 3년간 5,000대의 GPS 수신기를 공급하게 되며 최초 납품은 '15년 1월에 시작됐다.MicroGRAM은 전장에서 점점 확대되는 재밍이나 스푸핑 위협으로부터 전투원들을 보호하고, 생존성과 임무 성공을 강화해주는 장비로개별 전투원에까지 상황인식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MicroGRAM은 세계적으로 가장 작고, 가벼우며, 전력 소모가 낮은군용 선택적 유용성, 기만대응 모듈(SAASM) 기반 GPS 수신기이다.MicroGRAM은 위치결정·항법·시간설정(PNT) 능력의 군 도입과 관련하여,도입되는 모든 전투 및 전투지원체계에 있어 SAASM 기반 GPS 장비 사용을 의무화되어 있는미국방부 정책을 준수하고 있다.용어설명※ SAASM : Selective Availability Anti-Spoofing Module※ PNt : Position, Navigation and Timing
2015-03-31 14:49미 공군은 레이시온사와 9,160만 달러 규모의 소형 공중발사 기만 재머(MALD-J) 250대 구매 계약을 체결하였고, 납품은 2017년 6월 30일 완료 예정이라고 밝혔다. MALD-J는 적 방공망 교란을 위해 재밍 능력을 추가한 전자전장비 탑재체계로서 현재 미 공군에납품되고 있는 유일한 기만체계 버전이다.항속거리는 약 900km이고 비행특성의 사전 프로그래밍이 가능하여, 특정 유인 전투기 기동특성을 잘재현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최고속도 마하 0.9와 체공속도 약 마하 0.6을 발휘한다.MALD 체계는 아군의 실제 유인 전투기나 폭격기와 같은 레이더 반사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전투비행 특성을 모방하여 적방공체계를 교란시킬 목적으로 개발되었다.MALD-J 기만체계는 F-16 전투기와 B-52 전략폭격기에 통합되어 있으나, AIM-120 첨단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는 기종이라면 어떠한 항공기에서든 발사 가능하다.C-130, C-17과 같은 수송기에서도 투하가 가능하고, MQ-9 리퍼무인항공기 탑재도 계획 중이다.레이시온사는 최근 MALD-J를 해외 판매하는 미 국방부의 승인을 획득하였다.용어설멍※ MALD-J : Miniature Air La
2015-03-31 10:14브라질 육군이 자국 업체인 CBC(Companhia Brasileira de Cartuchos)사가 개발한 30×173mm탄약을 공식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며, 이 탄약은 UT30BR 원격조종 무기장치대(RWS)의 자동포용으로사용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UT30BR RWS는 7.62mm 동축기관총, 유탄발사기, 사격통제체계, 레이저 경고체계, 탄도 장갑 등이 특징이다.육군은 2012년 CBC사로 부터 훈련 예광탄 및 고폭 소이탄 30,000발을 수주하였으며, 이제 이들탄약에 대한 운용을 개시했다고 밝힌바 있다.또한 육군은 이베코(Iveco Latin America)사가 제작한 VBTP-MR 과라니(Guarani) 6×6 상륙장갑차용으로도 RWS 몇 대를 획득했으며, 이들 무기장치대로 무장된화포에도 이 신형 탄약을 사격할 계획이다.육군 기술센터와 국내 업체인 아레스(Ares)사는 라인메탈(Rheinmetall)사의Mk30-2 ABM 자동포로 무장한 TORC 30 RWS를 개발 중에 있으며, 따라서CBC사는 조만간 추가적인 주문을 수주할 예정이다.용어설명※ RWS : Remote Weapon Station
2015-03-30 17:41러-인도 합작 브라모스 에어로스페이스(BrahMos Aerospace)사가 인도 공군은 2016년 항공기에서발사할 수 있는 신형 브라모스(BRAHMOS) 순항미사일을 운용하게 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인도 공군은 금년 말까지 브라모스-A 미사일에 대한 시험을 추가로 10회 실시할 예정이며, 5월에는 미사일용 발사체계를 이용하여 비행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HAL사는 2월에 본 미사일 시험을 위해 성능개량형 Su-30MKI 전투기 사용을 승인한 바 있다.브라모스-A 미사일은 러시아의 P-800 오닉스(Oniks)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단거리 초음속순항미사일이다. 이 미사일은다양한 버전이 개발되어 잠수함·함정·지상에서 발사할 수 있으며, 미사일 무게는약 2.5톤이며, 길이는 8.5m 이상이다. 이미사일은 러시아와 인도가 협력 개발한 결과로 러-인도 합작 브라모스 에어로스페이스가 설계했다.인도 군이 운용하고 있는 무기와 장비의 70% 이상이 러시아에서 제작된 것이다.용어설명※ HAL : Hindustan Aeronautics Limited
2015-03-30 14:56미 국방부 고위관리는 당초 F-35 전투기 탑재를 목적으로 6세대 엔진을 개발할 계획이었으나, 적용대상 기종을 넓힐 것이라고 발표했다.현재 AETP 프로그램을 통하여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6세대 엔진은 연료 효율과 추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포함하며, 장거리 폭격기(LRS-B), F/A-18를 비롯하여 고성능 터빈엔진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종을대상으로 엔진 개발 적용이 가능하다. 2개의 엔진은 제작사에게 선행개발 사업을 발주하고 2019~2020년까지 체계개발을 착수할 예정이다.현재 미 국방부는 AETP를 통하여 추력 20,000lbf(89kN) 규모의 엔진을 위한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고,엔진 내에서 공기흐름과 압력비가 순항, 고속, 초음속 비행에 따라 변하는 가변 사이클을 적용, 기존 엔진보다 연료효율 35% 향상 (F-35A는 F135 엔진 장착 항속거리 1,200에서1,600마일로, F-35C는 900마일에서 1,200마일로 향상) 을 목표로 한다. GE사는 가변사이클 기술 외에 엔진 고열부의 세라믹복합재 적용, 압축기의 향상된 공력설계, 경량의 구성품을 위한 3-D 프린팅 등의 기술이수반되어야 35%의 연료효율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용어설
2015-03-30 14:34말레이시아 해군은 현재 건조가 진행 중인 프랑스 Gowind급 변형 모델 초계함 6척 중 1번함이 2019년초반에 배치될 계획이라고 밝혔다.신형 초계함은 말레이시아에게 2척의 스콜펜급 잠수함을 공급한 프랑스 DCNS사의 Gowind급 초계함의파생형이다.말레이시아 정부는 탑재 미사일에 대해 발표를 꺼려하고 있는데, 엑소세 블록 3 대신에 노르웨이콩스버그사(Kongsberg)의 공격미사일을 선정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전자기파, 레이더반사영역, 음향 및 적외선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텔스 성능 강화를 주목표로 설정하고 설계 및 건조되었다.건조사인 BHIC사는 말레이시아 해군 요구에 따라 함정의 길이를LCS 보다 6m가 확장된 111m로 변경하였으며, 헬기 격납고와 착륙갑판 등을 설치했다.배수량 3,000톤급으로 초계함의 승조원은 113명이며, 승무원 및 특수요원25명이 탑승하는 헬기 운용이 가능하다.용어설명※ BHIC : Boustead Heavy IndustriesCorporation Bhd
2015-03-30 1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