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AVIC(Aviation Industry Corporation)사는 지난 주 개최되었던 주하이 에어쇼 전시회에서 신형 중(中)형 수송기 개념을 처음으로 공개하였다.‘Xin Zhong Yun’로 명명된 신형 수송기의 기체형상은 넓은 동체와 6엽 프로펠러를 추진하는 4기의터보프롭 엔진을 탑재한 Airbus사의 A40M Atlas 다목적 수송기와 유사하다.새로운 수송기는 현재 생산 중인 적재중량 25톤의 Y-9 다목적 수송기와 현재 개발 중인 적재중량이60톤까지 가능한 Y-20 ‘Kupeng’ 전략 수송기 사이의 적재량 차이를 메꿔줄 수 있는 기종이다. Y-9 수송기는 구소련의 An-12B ‘Cub’ 수송기를중국에서 개조한 Y-8 수송기의 후속 모델이다.
현재 건조 중인 미 해군의 Zumwalt급 구축함 2번함인 Michael Monsor함의 갑판실(deckhouse)이 선체에 성공적으로 통합되면서 전체 건조공정의 79%가 완료되었다.Michael Monsor함은 전장 610ft, 함폭 80.7ft, 배수량은 약 15,000톤, 승조원은 158명이다.선체에 통합된 갑판실은 탄소복합소재 판넬(Balsawod-Cored Carbon–Composite Panel)로제작되었으며 측면형상이 안쪽으로 경사져 있는 등 레이더 프로파일 감소를 위한 설계가 적용되었다. 또한 갑판실은 길이 15ft, 높이 50ft, 무게가 900톤에 달하며, 함교와 레이더, 안테나 및 흡배기시스템 등이 자리하게 된다.미 해군의 차세대 전기추진 구축함의 선도함인 Zumwalt함은2014년 4월에 명명식을 갖고 취역을 위한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며, 2번함은 2017년에 해군에 인도 예정이고 3번함인Johnson함은 2012년 4월에 건조에 착수하였다.
이스라엘 Elbit시스템사가 우거진 수풀 속이나 그 너머에 위치한 위협의 탐지·추적을 위한 신형FPR-10 레이더를 출시한다고 발표하였다. FPR-10 레이더는 중요 기반시설, 공항, 항만 뿐 아니라 특히 적이 매우 효과적으로 은폐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삼림이나 밀집한 수목이 있는 지역에 대한 국경방호 및 경계를 위해 설계되었다. 국경 방호 및 넓은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를 위해 나뭇잎 통과가 가능한 긴 탐지거리를 제공한다.지상감시레이더(GSR : Ground Surveilance Radar)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고, 넓은 범위의 방위각 및 고각에대한 탐지가 가능하다.표적 분리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레이더 탐지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표적을 확인할 수 있다.다양한 이동 패턴으로 움직이는 표적을 동시에 탐지·추적할 수 있으며, 표적의 좌표 및 경로를 제공한다.오경보율(false alarm rate)이 낮으며, 개인용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에 쉽게 통합하여 운용이 가능하다.
인도네시아와 터키 정부는 인도네시아 육군용 중형 전차를 공동 개발·생산하기 위한 양해각서를11월 7일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국제 방산전시회 IndoDefence 2014에서 체결하였다. 인도네시아 국영 PT Pindad사와 터키 FNS Defence Systems사가 2014년 작업에 착수하여 설계·개발단계를 거친 후 2017년까지 터키와 인도네시아에서 시제전차를 각 한 대씩 제작할 예정이다.PT Pindad사가인도네시아 육군 요구조건에 따라 생산착수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PT Pindad사는 인도네시아 육군용 4×4 및 6×6 장갑차를 제작했지만, 궤도형 장갑차 시장에는 진출하지 않았다.규격은 인도네시아 육군이 결정할 예정이지만, 중형 전차의 중량은 20~40톤으로 예측되며90~105mm 강선포로 무장한 포탑이 탑재와 7.62mm 동축 기관총 및 컴퓨터화한 사격통제체계를장착할 것으로 예상된다.CMI사와 포 제작 협력을, Rheinmetal사와 탄 개발역량 강화를 협력할 예정이다.인도네시아 정부는 전차 등 다수의 군사기술 개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으며, 업체들은 외국 원 장비 제작업체들과 협력하면서 관련기술 획득 기회를 모색할것으로 예상된다.
록히드마틴사가 Paveway II Plus 레이저 유도탄(LGB : Laser Guided Bomb) 키트에 대한 후속 생산을 위해 미 공군과 4,03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계약은 5개년 납기·수량 불확정(Indefinite Delivery-IndefiniteQuantiy) 계약이다.Paveway IIPlus LGB 키트는 전자식 유도체계를 포함한 MAU-209C/B 컴퓨터 제어 부분과 날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GBU-10 및 GBU-12 폭탄에 대한 전반적인 체계 성능 및 정밀성을 상당히개량한 레이저 유도 패키지를 통합하고 있다.록히드마틴사는 모든 Paveway I MK-80 시리즈 LGB 버전에 대한자격을 인증 받은 공급업체이며, 개량형 레이저 유도 훈련탄(Enhanced Laser Guided Training Round) 및 이중모드 LGB 키트에 대한 단일 공급업체이다.
2014년 중국 주하이 에어쇼에서 중국 공군이 CS/SH-1로 불리는 신형 122mm 차륜형 자주곡사포를공개하였다. 본 자주곡사포는 SH-1 122mm 곡사포를 4×4 경트럭 뒤에 설치하고 있다. 오픈탑 형식인 4×4 전천후형 주행차량 차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바에 의하면 총 4명의 인원이 탑승하여 포 체계를 운용하게 된다.고각 범위는 –4 ~ +80°이고, 최대사거리는 곡사포탄과박격포탄의 경우 각각 9.5km와 8.5km이며, 대전차고폭탄(High Explosive Anti Tank)의 경우 1.2km이다. 체계 안정성 증가를 위해 2개의 지지대가 차량 후면에서 내려진다.
브라질 공군은 차기 전투기로 선정된 Sab사의 Gripen NG 다목적 전투기 최종 획득수량이 108대로확정되었다고 발표하다. 앞서 지난 10월, 58억 달러 규모의 Gripen 전투기 첫 번째 배치 물량인 36대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단좌형과 복좌형의 비율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새로 도입되는 Gripen 전투기는 이미 도태된 Dasault Mirage 200C 전투기와 현재 운용 중인Northrop사의 F-5EM과 Alenia/Embraer A-1M 전투기를 단계적으로 대체해 나갈 계획이다.첫 배치 물량인 36대 중 15대는 브라질에서 제작되고, 나머지 21대는 브라질과 스웨덴 기술자들에 의해 제작될 예정이다.2008년에 자국 방산업체 보호를 위해 발표된 규정에 근거하여 항공기 기체 계약건의80%는 국내업체가 계약해야 한다.브라질 공군의 Gripen 전투기에 탑재될 A-Darter 공대공 미사일은 다음주 최종 인증시험을 거칠 예정이며, 브라질산 Mectron MAR-1 공대지· 공대공 대방사(Anti-Radiation)미사일도 탑재될 예정이다.
중국 해군은 056A식 대잠초계함 2번함인 Sanmenxia함이 11월 13일 저우산에 위치한 해군기지에서취역식을 갖고 동해함대에 배치되었다고 발표하였다.056A식 대잠초계함은 056식 Jiangdao급 초계함의 파생형으로 가변심도 소나(VDS : Variable-Depth Sonar)를 탑재하였으며,VDS소나에 대한 제원은 알려져 있지 않고 있다.056식 Jiangdao급 초계함은 037식 초계함의 후속 모델로서 만재배수량 1,440톤, 전장 89m, 함폭11.6m, 흘수 4m, 최대속력은 28kts, 항속거리는 18kts로 3,500NM이다.중국 해군은 총 43척 보유를 목표로 건조를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17척이 배치되었고 이 중 대잠전파생형인 056A식은 Sanmenxia함과 Zhuzhou함 등 2척이다.056A식파생형은 총 4척이 배치될 예정이다.6기의 324mm 어뢰발사관, YJ-83(C-803) 대함미사일 4기, HQ-10SAM 미사일 8기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중국산 Z-9 쌍발엔진 헬기를운용할 비행갑판이 설치되었다.
11월 11~16일 개최된 2014 중국 주하이 에어쇼에서 NORINCO사가 8×8 병력수송장갑차 VN1 차대에기반을 둔 신형 구축전차 ST1을 공개하였다. VN1은 2008년 NORINCO사가 판매를 시작하여, 2009년 국제방산전시회 IDEX 중 처음으로 일반공개 하였다.ST1 구축전차는 NATO 표준 105mm 전차포로 무장한 2인용 포탑을 탑재하였다. 전차포는 날개안정철갑탄, 고폭탄 등의 모든 탄과 포발사 미사일(Gun-launched Misile) 발사가 가능하다.7.62mm 동축기관총이 주포 우측, 12.7mm 기관총 1정이 대공방어용으로 포탑 상부 우측, 연막탄 발사기3개씩이 포탑 양쪽에 탑재되어 있다.기동 또는 정지표적에 대해 주야간 사격을 하기 위해 열영상을이용하는 최신 기술의 안정화된 사격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러시아 Sputnik 국제통신사는 11월 13일 국영 방산업체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여 러시아가 2020년 이전에 첫 공중발사 마하 6~8의 극초음속 미사일을 제작할 것이라고 보도하였다.또한 러시아는 인도와 공동으로 브라모스-I(BrahMos-I)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인도 국방연구개발기구(DRDO : Def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sation)와 러시아간의 합작투자 회사인 Brahmos Aerospace사는 브라모스-I 미사일에 대한 예비설계를 진행 중이다.미국은 2013년 8월에 극초음속 미사일 비행시험을 시도했으나, 발사 후 4초 만에 로켓 폭발로 시험에 실패했다. 중국도 Wu-14 극초음속 활공비행체(HGV : Hypersonic Glide Vehicle)를 가장 최근 8월에실시된 시험을 포함, 지금까지 3번의 시험을 모두 실패하였다.
Trust Automation사가 록히드마틴사와 AN/TPQ-53 대포병 레이더체계에 대한 동작제어체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동작제어체계는 레이더 탑재 차량에 대한 수평을 자동적으로 유지한다.록히드마틴사가 제작한 AN/TPQ-53 체계는 신속반응능력을 가진 이동식 레이더 체계로서, 박격포· 야포·로켓체계로부터 발사되어 비행 중인 포탄을 90° 또는 연속 360° 섹터 탐색하여 탐지·분류·추적할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기존 AN/TPQ-36 레이더체계와 비교하여 운용적·물리적 기능이 향상되었으며,위협발사체계의 표적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전장 탐지와 대포병 사격이 가능하다.신속배치가 가능하고 노트북 컴퓨터나 지휘차량을 통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종전에 EQ-36 레이더로 명명되었던 AN/TPQ-53 레이더는 미육군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투 기간 중 운용하였다.
호주 노드롭그루먼사는 호주 캔버라에서 개최된 군 통신·정보체계 컨퍼런스 기간 중 신형 보안통신체계(SCS: Secure Communications Systems) 제품을 공개하였다.SCS-40으로 불리는 이 제품은 ‘보안지상이동통신플랫폼(SCMP-L :Secure Communications Mobile Platforms – Land)’ 사업을 위해 호주 육군과 체결한계약하에 개발되었다.SCS-40 체계는 모듈당 무게가 15kg이고, 야전에 배치할 수 있는 체계로서 상용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야전 병사들이 본부와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상용 연결수단에는 3G/4G, 광대역 글로벌네트워크(BGan), Ethernet 또는 WiFi뿐만 아니라 외부 위성까지도 포함된다.평문에서 고급 비밀에 이르기까지 네트워크에 동시에 원격 접속 가능하다.음성 통신 제공 외에도 원격 구성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식 인터페이스를채택함으로써 안전한 이메일 운용이 가능하다. 또,다양한 사이버 보안 대책을 내장하고 있어 악성 활동이나 비인가 접속을실시간 탐지할 수 있다.
미 국무부는 예상 비용 9,700만 달러에 이르는 첨단정밀타격무기체계(APKWS :Advanced Precision Kil Weapon System)와 관련장비, 부품 및군수지원을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이라크에 제공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을 미 의회에 통보하였다고 밝혔다.이라크 정부는 최대 2,000발의 APKWS, 시험지원 장비, 교체·수리부품, 발간물 및 기술문서, 인원훈련 및훈련장비, 운송, 미 정부 및 계약업체의 엔지니어링, 기술 및 군수지원서비스 등 군수 및 사업지원을 요청하였다.미국은 금번 제안된 판매를 통해 전략적 파트너 국가의 안보상황을 개선함으로써 외교정책과 국가안보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라크 정부를 직접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이라크 및 미국 양국 국민의 이익에 도움이되고, 이라크의 작전수행 능력 개선 및 국토방위 능력 강화에 일조할 전망이다.주 계약업체는 BAE시스템사가 될 예정으로 금번 계약과 관련하여 제안된 절충교역 내용은 알려진 것이 없으며, 본 판매계약을 위해 미정부와 계약업체 인원들은 약 3년간 사업관리, 사업 및 기술검토, 훈련, 유지보수 지원 및 현장조사를 위해 파견하게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항공우주 과학·기술공사(CASIC :China Aerospace Science Industry Corporation) 가 2014년 중국 주하이 에어쇼에서 최신 개인휴대형 대공방어체계(MANPADS : MAN-Portable Air-Defense System)를 공개하였다. 현재 이 체계는 개발이 진행 중이며, 운용가능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QW-19 체계는 이전의 QW-18 체계와 달리 설계 측면에서 디지털 탐색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디지털 기술은 다른 모델과 비교하여 높은 항(抗)재밍 능력을 갖추고 있다.적외선(IR) 탐색기는 표적 획득과 조준에 있어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신형의 듀얼 밴드 영상 탐색기이다.QW-19는 순항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러시아의 KBM lgla-S와 유사하게 정면요격이 가능하며, 발사 후 소모성 발사 모듈이 발사관에 남아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이전 모델이 비해 운용자 보호를 위한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전 모델은 소모성 발사 모듈이 발사기로부터 미사일이 발사되는 순간 분리되어병사들에 위험 요소가 되었다.
호주는 현재 운용 중인 콜린스급 잠수함을 대체하는 차세대 잠수함에 일본이 개발 중인 리튬전지 추진기술을 적용하길 강력히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호주는 2030년대 중반까지 잠수함 12척을 확보하는 34억 달러 규모의 차세대 잠수함 사업을 추진중이며, 현재 일본의 소류급 잠수함을 선정하는 것으로 기울어져 있다.일본은 미래 잠수함 추진시스템으로 주목받을 리튬전지추진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 위치에있으며, 2010년대 말까지 차기 소류급 잠수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리튬전지 추진 잠수함은 기존 공기불요시스템(AIP :Air Independent Propulsion)을 탑재한 디젤-전기추진 잠수함에 비해 더 오랜시간 잠항이 가능하며, 연료 재공급을 위하여 기지로 회귀할 필요 없이 해상에서 충전을 하는 미래형첨단 잠수함이다.소류급 잠수함의 경우 AIP를 탑재하면 가격이 척당 5억 달러이지만 리튬이온추진 잠수함은 6억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