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rojet Rocketdyne사는 로켓엔진을 적층가공(AM : Aditve Manufacturing)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연간 엔진생산량을 12대에서 100대로 증가시킬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종래의 12개 부품 대신 3D 프린팅한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액체연료 Bantam 로켓엔진을 제작하게 되면서 생산량이 증가한 것이다. 이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 : Selective Laser Melting)’이라는 공정으로, 도포된 금속분말에 선택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융시키는 방식으로 적층하여 부품을 생산하게 된다.전통적인 방식으로 엔진을 제작하면 14개월이 소요되나, 3D 프린팅 엔진은 단지 15일만 소요된다고 밝혔다.특히 연료분사장치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수많은 용접·단조 부품으로 구성되나, 3D 프린팅인 경우 하나의 부품(one piece)으로 제작함으로 제작기간뿐만 아니라 중량까지 줄일 수 있다고 Aerojet Rocketdyne사는 밝혔다.Aerojet사가 제작한 3D 프린팅 엔진은 5,000lbs의 추력능력을 가지며,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한 엔진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Aerojet사는 향후에 40,000lbs의 추력을 가진 엔진
2014-09-01 16:48록히드마틴사는 자사가 개발중인 개량형 이중모드 레이저유도탄(DMLGB : Dual Mode Laser Guided Bomb)이 최근에 실시한 미 해병대의 무기 및 전술교관 훈련 기간 중 성공적으로 운용되었다고 밝혔다. 이유도탄은 전술적으로 교전상황에서 발사되어 고정표적에 대해 여러 가지 표적공격 모드에서 성공적으로 성능을 발휘하여 해병대의 임무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중모드 DMLGB는 표준 레이저유도탄에 위성항법장치(GPS)/관성항법장치(INS : Inertial Navigation System )를 추가하여 미 해군 및 해병대가 모든 기상조건에서 정지표적 및 이동표적에 대해 정밀타격 임무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2013년에 록히드마틴사는 DMLGB의 Block I 비행 운용 프로그램(OFP : Operational Flight Program) 소프트웨어에 대해 성능개량하여 모든 발사모드에서 전반적인 무기 성능과 효과성을 개선하였다고 밝혔다.
2014-09-01 05:47이탈리아 Alenia Aermaci사는 Storm Shadow 순항미사일의 Typhon 다목적전투기 1단계 통합시험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이번 시험은 미사일의 전투기 통합에 항공역학 분야 평가와 미사일 기능통합시험 평가를 위한 특정 미사일발사시험을 포함하는 항전비행시험 등이 진행되었으며, 관성낙하시험이나 환경데이터 수집시험과 같은 비행시험은 완전 통합시험 단계에서 실시할 예정으로 알려지고 있다.유로파이터사의 Gutierez 사장은 “이번 시험의 성공으로 Storm Shadow 미사일이 Typhon 전투기 탑재목록에 등록되어 전투기의 공대지 능력 강화의 중요한 분기점에 도달하였다.”라고 의미를 부여하였다.MBDA사가 제작한 Storm Shadow 미사일은 항만시설이나 지휘통제센터, 벙커, 미사일 저장소, 교량 등 중요한 목표물을 전천후로 장거리에서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첨단 미사일로써,Typhon 전투기는 Storm Shadow 2기와 공대공 미사일 8기를 탑재하며,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이 Storm Shadow 미사일을 탑재하게 된다.
2014-09-01 05:40미 육군은 ManTech사와 야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지원을 계속 제공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이계약에 따라ManTech사는 육군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센터(SEC : Software Enginering Center)에 지휘·통제·통신(C3)체계 야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지원 수행하게 된다.ManTech 사장은 “C3체계가 육군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밝혔으며,"전략 및 전술 C3체계 사용자들에게 범세계적인 주둔기지의 연습·전투작전 지원을 계속 제공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Aberden Proving Ground에 본부를 둔 SEC는 전국에 있는 광범위한 미 육군 및 국방부 고객들에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및 과학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2014-08-30 09:30이스라엘 Elbit시스템사가 경공격 탐색 구조헬기, 중형 무인항공기, 특수임무용 경제트기 등과 같은경량급 플랫폼에 사용할 일체형 통합 감시센서 탑재체를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감시센서 탑재체는 크기·무게·전력(SWaP : Size, Weight, and Power) 요건을 충족시키면서 표준 EO/IR센서 탑재체에 통합될 전망이다.추가적인 임무수행 장비의 빠르고 간편한 통합을 위해 개방형 아키텍처 설계와 함께 통합 디지털 지도,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 항법장치, 데이터링크 시스템 등을 채택될 예정이다.Elbit시스템사의 수석부사장에 따르면, 센서 탑재체는 기존 플랫폼에 대한 성능개량을 용이하게 하는기존 기계적·전자적 인터페이스와 몇 개의 HD 디지털 비디오 출력을 지원하는업그레이드된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특징을 가지고 있다.오늘날 전 세계에 1,000대 이상의 다양한 형태로 된 통합 감시센서 체계가 운용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영국의 Watchkeper 무인기 사업과 주요 아시아지역 헬기사업 및 대규모 해양초계 항공기 전력이 포함되어 있다.
2014-08-28 02:40싱가폴이 보유한 F-15SG 전투기의 대수가 싱가포르 군 당국이 공식적으로 보고한 24대보다 더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업계 관계자들은 싱가포르 공군이 등록한 F-15SG 전투기의 대수는 실제로 32대이며, 2011년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천 공장 투어 당시 발견된 F-15전투기가 ‘SG28’라벨을 달고 있었던 점을 미루어 보아, 싱가포르는 사실상 총 40대의 F-15SG전투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하고 있다.싱가폴 군당국은 최근 호주에서 진행된 항공 전투 훈련 피치블랙 (Pitch Black)에 참가한 F-15SG전투기들의 등록번호를 덧칠하는 등 실제 보유 대수를 숨기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밝혔다.
2014-08-27 19:27F-35스텔스 전투기를 대응하기 위해 개발 중인 중국J-20전투기의 네 번째 시제기가 7월 26일 시험비행을 실시하였다고 미국의 한 군사전문 매체가 보도했다. 이번에 시험비행을 실시한 네 번째 시제기는2011년에 발표된 첫 시제기와 비교했을 때, 스텔스 기능 관련 디자인의 상당부분이 변경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는 최근 해킹된 F-35와 F-22전투기 등 첨단 무기 설계도를 바탕으로 재설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이 F-35의 첨단 센서 시스템 관련 디자인까지 해킹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제작사 록히드 마틴이 F-35전투기가 전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서 F-35전투기 설계변경을 제안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4-08-27 19:10세월호와 같은 대형 재난사고가 나게 되면 청와대서 휴대폰으로 현장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재난복구 지휘를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국내 중소업체에서 이론적으로만 존재하던 ‘도파관 안테나’를 개발하여 이미 수출도 한 것이다. ‘도파관 안테나‘ 는 금속관 내부의 공동을 통하여 전자기파를 전송하는 방식을 띄는 안테나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잡음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로 방사되지 않도록 외부 전자계와 완전하게 분리 및 차단이 가능하며 전송에 따른 저항손실과 유전체 손실이 매우 적어 출력이 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그러나, 실제로 제작이 복잡하여 꿈의 안테나로 불리었으나, 국내 중소기업에 의해 개발된 것이다. 건국대 지능형운행체연구원 임성호 박사는 “이 안테나는 기존의 대형 접시 안테나가 아니라, 12cm 정도의 플라스틱 판에 다양한 설계로 돌출부를 만들었는데, 이지스함의 평면 레이더를 상상하면 된다. 이 안테나는 Ka 밴드대역 (26.5~40GHz) 의 고주파수를 사용하기에 이동시에도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2Mbps~500Mbps)으로 전송할 수 있다. 비행기, KTX, 군함, 차량 등에 탑재를 하게 되면 이동식 위성통신 지휘소가 되며 안테나 주변지역
2014-08-25 21:14OTO Melara사는 76/62 Super Rapid 함포를 다목적 지상기반 설치하여 DRACO 체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이는 방공 및 지상전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대(對)로켓·야포·박격포(C-RAM : Counter Rocket, Artilery and Mortar) 역할을 수행한다고 밝혔다.새로운 체계의 역할은 제한된 지역에 대한 방어와 중요 지점으로부터 지상작전 지원, 중형 및 소형 보트에 대한 해안방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DRACO 체계는 최적화한 탄약 사용과 상이한 위협형태에 따라 지상표적 직사사격 시 사거리가 50m이하로부터 간접사격 지상 운용 시 20,00m 이상의 유효사거리 등 다양한 사거리를 갖게 된다. DRACO 체계는 분당 80~10발의 사격률를 발휘하는 76/62mm 자동화포와 2개의 자이로식(포/포탑) 안정화 장치 등 아주 간편한 무기 체계가 되었다.DRACO 체계의 총 무게는 5.5톤으로서 장전기 주변의 회전식 급탄체계내 발사대기탄 12발과 포탑의 자동 포탄창 내 24발을 탑재할 수 있다.
2014-08-22 01:23인도 해군이 Saryu급 연안경비함 4번함 ‘Sumitra’함을 인수하였다고 건조사인 Goa 조선소가 발표하였다.Saryu급 연안경비함은 배수량 2,20톤, 전장 105m, 항속거리는 12kts의 속력으로 6,500해리, 최고 속력은 24kts, 승조원은 13명을 수용한다. 무장은 사거리 16km, 분당 발사속도가 120발인 76mm SRGM 함포와 근접방어체계인 AK 630 6열30mm 함포 2문, 대함미사일에 대한 자체방호를 위한 Kavach 기만체계 발사체 4기와 HAL Dhruv헬기를 탑재한다.Saryu급 연안경비함은 인도 연안경비대의 ‘Sancalp’급 함정의 변형모델로 추진시스템은 Pielstick PA6B STC 디젤엔진 2기를 탑재하고 있다.선도함인 Saryu함을 비롯하여 2번함 Sunayna, 3번함Sumedha함은 2013년 1월에서 2014년 3월 사이에 실전 배치되어 운용 중이다.
2014-08-22 01:11리투아니아 국방부는 의회가 승인한 2014~2023년 국방체계 발전사업에 따라 기계화 사업 첫 단계로 기계화 보병여단 2개 대대에 2020년까지 현대식 차륜형 보병전투 장갑차(IFV)를 공급할 계획을 밝혔다. 지난 7월 17일 9개 외국 차륜형 IFV 제작업체에 정보요청서를 보내, 10월 중순까지 응신을 받아 2015년 계약 체결 예정이라고 밝혔다.IFV 조달사업은 군 현대화 장기사업의 하나로 국방과 NATO 회원국 역할 충족하며, 이전 정부에서 중단되었던 군 현대화 사업 재개 의미한다. 9개 정보요청업체는 프랑스 Nexter시스템사, 핀란드 Patria사, 독일 KMW사, 이스라엘 Elbit시스템사, 이탈리아 Iveco사, 폴란드 WZM사, 스위스 GDELS-MOWAG사, 터키 FNS Savunma Sistemleri사와 Otokar사 이다. 현재 운용 중인 궤도형 병력수송 장갑차 M13 30대가 교체 대상이며, 신규 장갑차는 APC 역할뿐 아니라 장갑차 및 보병과 교전 가능성과 배치성, 속도 기동성, 가격 적정성 및 유지성 고려하여 차륜형으로 결정하였다. 신규 IFV는 승무원 3명과 완전군장 보병 8명을 수용할 수 있어야하며, 최대 및 최소 중량은 규정되
2014-08-22 01:04미 공군이 캘리포니아 주 남부 시험장에서 F-35B Lightning I 합동타격전투기에서 레이시온사의 ‘첨단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AMRAAM : Advanced Medium Range Air-to-Air Misile)’ AIM-120 2발을 발사하여 2개의 공중표적 공격에 성공하였다. F-35 전투기에서 AMRAAM 2발을 발사한 것은 이번 시험이 최초이다. AMRAAM은 초가시거리 공대공 미사일로서 전천후 운용 가능하며, 전 세계 36개국에서 F-35 외에도 F-16, F-15, F/A-18, F-2, Typhon, Gripen, Tornado, Harier 및 F-4에서 운용 중이다. 또한 미국은 2020년까지 모든 항공기에 레이시온사의 ADS-B(ADS-B : Automatic Dependent Surveilance-Broadcast)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요구하였다.ADS-B는 항공기 추적을 위한 협동감시기술로 항공기는 자신의 위치를 위성항법에 의해 결정하고, 이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항공교통통제 지상국은 이 정보를 수신하여 또 하나의 레이더 대용으로 사용하며, 타 항공기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인식과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2014-08-22 0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