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해군은 Project 11356의 1번함인 그리고로비치(Grigorovich)급함을 3월 말 해상시험에 착수하며, 2번함인 에센(Essen)함은 금년 말 진수식을 갖는다고 발표하였다.그리고로비치급은 대수상·대잠·대공전 임무 수행을 위하여 설계된 유도탄탑재 호위함으로, 러시아국방부는 2010년과 2011년에 Project 11356 호위함 6척에 대한 계약을 얀타르 조선소와 체결한 바 있다.6척 중 1척은 고르쉬코프(Gorshkov)급 호위함으로 대체되어 5척이 배치될 예정이다.인도는 러시아와 공동으로 건조한 그리고로비치급 6척을 Talwar급으로 명명하여 해군에 배치 중인며,초음속으로 다중 공격이 가능한 칼리브와 클럽(3M54E) 등 대함 및 함대함 미사일 발사체를 탑재하고 있다.이 미사일들은 저고도 초고속 비행으로 대응요격이 매우 어려운 강력한 미사일로 알려져 있다.100mm 함포와 카쉬탄(Kashtan) 근접방어체계, 쉬틸(Shtil) 공중방어미사일 수직발사체, 533mm 어뢰발사관 2기, RBU-6000 대잠로켓발사체를 탑재하고 있으며 Ka-28 또는 Ka-31 헬기를 운용하고있다.
2015-03-23 13:51미국 해병대 지상체계사업국이 SAIC사와 체결한 주계약에 따라 상륙돌격장갑차(AAV) 시제 10대를초도 성능개량하는 옵션을 행사했으며, 이후 추가 옵션으로 개발시험을 실시하고 운용시험·평가용소량초도생산분 52대를 납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번 확정 고정가격 단일계약은 SAIC사가 이 계약의 엔지니어링 단계와 관련하여 종전에 발표한 1,600만달러의 최초계약에 기반을 두며, 옵션 행사에 따라 5,300만 달러 증가하여 전체 계약 규모가 6,90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5년간 총 계약가격은 모든 옵션을 행사할 경우 약 1억 9,400만 달러 규모가 될 예정이다.계약에 따라 SAIC사는 AAV 성능개량을 실시하여 방호력을 개선하고, 지상과 수상 기동성을 회복시켜 전투수행능력을 개선할 예정이다.장갑 성능개량, 엔진 구조변경을 통한 출력과 토크 개선, 노후 변속기교체, 현수장치 구성품 개량, 신형 워터제트 엔진 및 방폭좌석 설치,차량 제어장치·계기·조종사 인터페이스 체계 개량을 포함하고 있다.
2015-03-23 13:42러시아 군이 이동식 전술용 S‐300 및 S‐400 방공체계와 같은 장거리 미사일 운용에 따라 근우주공간(near space, 20~100km)에서 표적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사일체계는 중거리 탄도미사일의 탄두를 외기권에서 요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S‐300 및 S‐400 방공체계에 사용하는 신형 40N6 미사일은 400km 사거리에서 최대 185km 고도의표적을 직접타격 방식으로 요격하며,40N6 미사일은 2008년부터 개발되어 2015년 1월에 최종 정부 품질시험에 통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최대사거리에서 표적의 요격고도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과제였음을 시사한다.러시아는 S‐300 파보리트(Favorite) 미사일과 S‐400 트리움프(Triumph) 미사일에 대한 다양한 개조버전 약 2,000개 체계를 보유하고 있다.S‐400 트리움프 1개 포대는 72개 미사일을 이용하여 속도가4.8km/s인 36개 공중표적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으며, S‐500 프로메테우스 미사일은 사거리가 600km 이상으로 예상되고 지구저궤도에서 7km/s 속도로 비행하는 표적과 교전할 수 있다.
2015-03-23 12:02오비탈 ATK(Orbital ATK)사가 정밀유도키트(PGK)와 관련하여 1억 2,000만 달러 규모의 양산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하였다. 2013년 8월 당시 ATK(Alliant Techsystems)사와 체결한 5,770만 달러 규모의 계약에 따라 초도소량생산이 착수되었으며,현재의 양산계약은 2010 회계연도 및 2013~15 회계연도 예산에서 할당된 자금을 이용하여 계약을 수정한 것이다.이 계약 건은 2016년 초에 시작되어 2018년 3월 27일 까지 미 육군과 해병대에 PGK 11,577개, 호주및 캐나다 육군에 5,865개가 납품될 예정이다.오비탈 ATK사 사업본부장은 “금번 계약 체결로 PGK 사업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를 기록하게 되었으며, 다음 단계는 PGK를 기존 또는 새로운 직·간접화력 무기체계의 미래 정밀 무기에 확대적용하는 것이다.”라고 말하였다.일부 보도에 따르면 미군이 PGK의 원형공산오차(CEP) 30m와 비교할 때, CEP10~20m의 정확성을 가진 엑스칼리버(Excalibur) 정밀유도탄을 더욱 선호하나,두 무기 간의 가격이 차이가 상당히 크고, 실제 사격에서 표적 5m 이내에 90%가 명중하는 등 비용대비 정확성이
2015-03-23 11:49폴란드는 2030년까지 획득 예정인 신형 잠수함 3척에 탑재할 첨단 순항미사일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토마스 시에모니악 국방장관은 폴란드가 미국에게 레이시온사의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판매 가능여부를타진하였다고 언급하였다.미국이 토마호크 미사일을 판매할 경우, 입찰 제안과정에서 프랑스 국영조선업체 DCNS사 건조 잠수함에전용으로 탑재되는 MdCN 순항미사일 체계와 경쟁하게 된다. 폴란드는 2014년에 함정에 순항미사일을 탑재할 필요가 있음을 결정했고, 미국을 비롯하여 순항미사일을 제공할 수 있는모든 공급원을 물색하고 있으며, 잠수함 관련 제안절차는 금년에 착수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폴란드는 향후 10년 동안 군사력을 전반적으로 재정비하기 위해 약 420억 달러의 예산을 투입하여전례 없는 군사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군사력 강화를 위한 구매목록에는 미사일 방어체계, 대공체계, 병력수송 장갑차, 잠수함, 무인전투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계획을 추진할 경우 폴란드는 국내총생산의 2%를 국방예산에 배정하도록 권고해온 NATO의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잠수함 명칭의 ORP Sep의 ‘ORP’는 ‘Okręt Rzeczypospolitej Polskiej(폴란
2015-03-23 08:51말레이시아 정부가 중국의 CSTC사가 건조하는 C28A 초계함의 변형모델 함정 2척을 구매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방산관련 웹사이트가 공개하였다.알제리에 공급된 C28A함은 초계함(corvette)로 명명되었고, 파키스탄의 유사한 배수량을 갖는F-22P함은 호위함(frigate)으로 명명이 되었으며, 말레이시아 역시 DCNS사에서 호위함으로 명명한유사한 배수량의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이 방산 웹사이트는 C28A이 파키스탄의 F-22P 호위함의 진화된 모델이며 중국 해군의 054A식 호위함의 설계를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C28A함은 전장 120m, 함폭 14.4m, 기준배수량은 약 2,880톤,만재배수량은 3,000톤 이상이다.76mm 함포, 730식 근접방어체계 2문, FM90N 대함미사일발사체 등을 탑재하고 있다.용어설명※ CSTC : China Shipbuilding Trading Co.
2015-03-20 15:15싱가포르 육군이 구형 4×4 APC V200 장갑차를 신형 PRV(Protected Response Vehicle)로 교체하는사업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RV는 르노 트럭 디펜스사가 설계·제작한 HIGUARD의 개조 버전으로 추정된다.HIGUARD는 지뢰방호장갑차 범주로 비대칭전투지역에서 APC 임무를 수행하고2011년에 카타르 군이 22대를 발주한 바 있다.V-200은 4×4 장갑차로서 미국 캐딜락게이지사가 V-100 코만도(Commando)을 기반으로 설계·제작하여, 첫 번째 생산분이 1970년 7월 싱가포르에 납품되었다.RBS 70 지대공 미사일체계를 장착한 대공차량, 차체 전방에A자형 프레임을 장착한 구난차량, 90mm MECAR포·7.62mm,동축기관총·7.62mm 대공기관총을 무장한 2인 포탑 화력지원차량, 20mm 오리콘 콘트라베스(Contraves)포·7.62mm 동축기관총·7.62mm 대공기관총으로 무장한 2인 포탑의 APC 포함하고 있다.
2015-03-20 15:06영국 쳄링(Chemring Technology Solutions)사가 전술 지휘·통제·통신·협조(C4) 능력 구현을 위해전술통신운영관리체계(TACCOMS) 소프트웨어와 휴대용 박스 탑재형 네트워크 장비인 스마트링크(SmartLink)를 통합하였다고 밝혔다. TACCOMS는 스마트링크와 통합되어 독립적인 보안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완벽한 지휘통제 유지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데,현재의 군용 전술무전기는 낮은 데이터 전송속도의 기본적인 음성통신만 가능하여 사용 제약이 많이 따르고 있다.스마트링크를 통해 지휘센터는 고급 셀룰러 네트워크 접속으로 실시간 음성·이미지·영상 공유가 가능하며,해당 지역의 상용 셀룰러 기반시설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스마트링크는 3분 이내에 배치되어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를 제공한다.스마트링크는 소형 폼 팩터(SFF), 장거리·저전력 소모 특성을 구비하여 상용이동식 네트워크 통신권역이 확보되어 있지 않을 경우, 군사 임무를 비롯하여국경 경계, 인도적 작전 및 치안활동 지원에 사용이 가능하다. 용어설명※ TACCOMS : TACtical Communications OperationsManagement System※ SFF : Small Form F
2015-03-20 14:44미국 해병대 지상체계사업국이 SAIC사와 체결한 주계약에 따라 상륙돌격장갑차(AAV) 시제 10대를초도 성능개량하는 옵션을 행사했으며, 이후 추가 옵션으로 개발시험을 실시하고 운용시험·평가용소량초도생산분 52대를 납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이번 확정 고정가격 단일계약은 SAIC사가 이 계약의 엔지니어링 단계와 관련하여 종전에 발표한 1,600만달러의 최초계약에 기반을 두며, 옵션 행사에 따라 5,300만 달러 증가하여 전체 계약 규모가 6,900만달러에 달한다.5년간 총 계약가격은 모든 옵션을 행사할 경우 약 1억 9,400만 달러 규모가 될 예정이다. 계약에 따라 SAIC사는 AAV 성능개량을 실시하여 방호력을 개선하고, 지상과 수상 기동성을 회복시켜 전투수행능력을 개선할 예정이다. 장갑 성능개량, 엔진 구조변경을 통한 출력과 토크 개선, 노후 변속기교체, 현수장치 구성품 개량, 신형 워터제트 엔진 및 방폭좌석 설치, 차량 제어장치·계기·조종사 인터페이스 체계 개량도 포함되어 있다.
2015-03-18 10:48유럽 에어버스 DS사가 최신 공중감시레이더에 ASR-NG 공항감시 신형 기술을 도입하여 강화된항공교통관제 능력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SR-NG는 탐지거리 범위를 220km까지 증가시킴으로써 강화된 탐지능력을 자랑하고 있다. 이 레이더 시스템은 풍력발전시설 영향 완화, 신형 주(主) 감시레이더의 3D 고도 측정, 4G/LTE 이동전화 신호간섭에 대한 내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ASR-NG는 장거리 감시를 위한 반도체형 트랜스미터와 첨단신호처리기술에 기반을 둔 주 레이더로 구성되어 있다. 미니 드론처럼 아주 작은 물체나 헬기 또는 새떼 등과 같이 저속으로비행하는 대상도 신뢰성 있게 탐지하여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특별히 개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풍력터빈 인근 항공기에 대한안전한 유도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민간 및 군용 항공교통관제를 위해 독일·프랑스·미국·영국·캐나다·오스트리아· 포르투갈·불가리아·필리핀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용어설명 ※ ASR-NG : Airport Surveillance Radar Next Generation
2015-03-18 10:41전기적 기계장치와 디젤 엔진이 결합된 병렬형 하이브리드 구동체계를 탑재한 VAB MK III 일렉터(ELECTER) 시제차량이 수락시험에서 성능과 견고성을 인정받아, 지난 1월 13일 프랑스 병기본부DGA에 납품되었다. DGA와 RTD사는 18개월 동안 계획된 시험을 통해 병렬형 하이브리드 구동체계의 군용 승인을 추진할예정이며, 결과에 따라 DGA 미래 전투 플랫폼 개발 시 채택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다수의 볼보 그룹 민수차량에 장착되어 공기오염을 줄이고 연료 효율성을 입증한 하이브리드 구동체계는 차량 가속력을 높이고 전술 가속 소요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성능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스텔스 기동성을 확보하며 예비전력 제공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기동성 측면에서 170kW 이상의 추가동력을 순간적으로 제공하는 부스터 역할이 가능하며, 열연소 엔진 대신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기 모터만을 사용함으로써 10km이상 스텔스 기동이 가능하고, 예비전력 제공으로 지휘용 또는 관측용 차량이장시간 정숙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70kW 발전장치 세트로 견인형 발전장치 세트를 대체하여, 최대 15kW의 대형 발전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2015-03-17 14:06미 육군 및 록히드마틴사가 최근에 육군의 차량용 광학센서체계(VOSS) 사업에 대한 마일스톤 C를달성하였다. 이에 따라 VOSS 체계는 지뢰방호 장갑차(MRAP)에 대한 표준센서로 인증되었다.VOSS 체계는 통로개척이나 정찰 임무를 위해 이동간 360° 감시 및 폭발물 위험 탐지능력을 제공하며, 안정화된 15인치 터렛에 설치된 고해상도 컬러, 야간투시 및 열상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2 006년 이래 1,100대 이상의 VOSS 체계가 미 육군 및 해병대와 나토 동맹군에 배치되었으며,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97%의 작전준비율(operational readinessrate)을 보이면서 전투에 사용되었다. 용어설명 1. VOSS : Vehicle Optics Sensor System2.MRAP : Mine Resistant Ambush Protected
2015-03-17 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