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3일 미국 외교위원회 CFR은캐나다이민정책과 관련된 보고서를 발표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CFR은그림자 정부의 핵심 정책결정기구이다. 이번 보고서는 이들의 미래 이민정책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현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정책에 대한 우회적 비판은 역설적이게도,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이민정책의기준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다음은 보고서의 전문이다. 기사출처: https://www.cfr.org/backgrounder/what-canadas-immigration-policy 비교적개방적이고 잘 정비된 이민제도로 캐나다는 이민자와 난민들에 최고의 정착지가 되었다. 개요 캐나다는 지난 반세기 동안 이민자들을 잘 받아들이고 다문화주의를 높이 평가한다는 명성을 쌓아왔다. 해외 출신자들이 캐나다 인구의 약 1/5을 차지하는데, 이는 서구 선진국 중 가장 높은 비율 중 하나다. 이민자들은 이나라가 고령화에 대처하고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최근 몇 년 동안 캐나다는 훨씬 더이민자들에게 매력적인 최종 목적지가 되었다. 왜냐하면 도널드 J 대통령의리더십 아래 있는 미국은 난민, 망명 신청자, 임시직 근로자를위
2020-08-05 00:59지난 7월 31일, GreatGameIndia는현재 호주에서 유행하고 있는 신종사기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납치(virtualkidnappings)" 에 대해 보도했다. 다음은 기사 전문이다. 기사출처: https://greatgameindia.com/chinese-students-fake-kidnappings/ 세계적으로 갈취사기가 기승을 부리는 와중에, 호주에서는 중국 유학생들을 가짜 납치 전화사기의 표적으로 삼고, 이들 가족을 속여서 수백만 달러의 몸값을 갈취하는 신종사기가 판을 치고 있다. 작년한해 호주 전역에서 총 1,172건의 '중국 당국'(을 빙자한) 사기 신고가 접수돼, 손실액 합계가 200만 달러를 넘어섰다. 뉴사우스웨일즈경찰은 올 한해만 최소 8건의 '온라인 납치' 사례가 보고됐다고 밝혔다. 호주 연방경찰은 지난 5월 적어도 25건의 납치 갈취 사건을 수사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들 사기극은 일반적으로 호주 전역의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사기꾼들은 학생의 가족들을 속이고, 주로 똑같은 구식방법 (사기꾼이중국정부 당국자인 척 전화를 걸어 피해자가 중국에서 사법 조치에 처한 것처럼 꾸미는)으로 범행을 저지른다. 이들은
2020-08-03 01:17지난 7월21일, 미국의 국제정치 전문 대안매체인 TWR(THE WEICHERT REPORT)은 중국과 인도의 현 분쟁이 비단 불분명한 국경선을 둘러싼 땅따먹기 경쟁이 아닌, 티베트 고원이라는 천혜의 수자원을 놓고 벌이는 치열한 용수권 쟁탈전이라는 사실을 폭로했다. 다음은 창립자인 브랜든 J. 와이커트의 칼럼 전문이다. 기사출처: https://theweichertreport.com/2020/06/21/in-the-china-india-dispute-its-all-about-water/ 2020년의 세상은 평상시보다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연초만 해도트럼프 대통령이 (바람직하게) 이란의 콰셈 솔레이마니 장군을 암살하자, 3차 세계대전이 터지리라는 전망에모두가 (당연히) 우려했었다. 그 후 중국 우한(중국의 연구소로부터 점점 더 많이 나오는 것으로보이는)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발발로 팬데믹이 시작되었다. 이에 대응하느라, 세계는 치명적인 폐쇄조치를 견뎌야 하는지경까지 내몰렸고, 과거 세계 대공황에 방불한 새로운 경제침체로 빠져들었다. 한편, 미국은 미니애폴리스 경관의 손에 아프리카계 미국인 용의자조지 플로이드가 잔혹하게 살해당하면서 마르크스주의적 내란의 위
2020-08-02 10:01지난 2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에 한국 검역 앱에서 주요 보안 결함이 발견됐다는 내용의 "한국형 자가격리 앱에서 주요 보안상 결함 발견 (Major Security Flaws Found in South Korea Quarantine App) " 보도가 나왔다. 다음은기사 전문이다. 기사출처: https://www.nytimes.com/2020/07/21/technology/korea-coronavirus-app-security.html 이미 수리가 끝나긴 했지만 이번에 발견된 결함은, 격리 중인사람들의 세부적인 개인정보까지 노출시켰다. 한국은 디지털 공중보건 분야에서 선구자로 각광받아왔다. 한국은 긴급 문자 경보에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공격적 경로추적에 이르기까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디지털 도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이 전략의 중심축이자, 방역 강화에 도움이 되는 모바일앱에, 개인정보를 노린 해커공격에 취약한 심각한 보안결함이 있다는 사실이, 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의해 밝혀졌다. 뉴욕타임즈의 사실확인을 거쳐 현재는 수리가 끝난 이 결함들로, 해커들은격리중인 이들의 이름, 실시간 위치 및 여타 세부정보
2020-07-26 16:58지난 7월 23일 미국의 워싱턴 타임즈는 "Former Democratic lawmaker indicted in ballot stuffing, election fraud" 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선거관리위원에게 뇌물을 제공하고 득표수를 실제보다 부풀린 혐의로 전 민주당 하원의원이 피소되었다고 전했다. 다음은 기사전문이다. 기사출처: https://www.washingtontimes.com/news/2020/jul/23/ex-lawmaker-indicted-democratic-vote-fraud-scheme-/ 필라델피아 출신 전민주당 하원의원이 연속 세 차례에 걸친 예비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들의 득표를 위해 선거관리인에 뇌물공여 혐의로 기소됐다고 연방검찰이 목요일 발표했다. 수치스러운 '앱스캠(Abscam: 부패 정치인 함정수사)' 스캔들에 휘말려 1980년대의회에서 제명된 바 있는 마이클 '오씨(호주인을 일컫는 Aussie)' 마이어스(77)가 선거관리위원에 뇌물제공, 기록조작, 연방선거에서 한번 이상의 복수투표, 사법방해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공개된 기소장에 따르면, 마이어스는 민주당의 도미니크 디뮤로 전 필라델피아 선거관리위원에게, 후보당 300달
2020-07-25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