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군이 시콜스키(Sikorsky)사와 CH-53K 킹 스탤리온(King Stallion) 중형 수송헬기 초도소량생산(LRIP)을 위한 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 LRIP 헬기의 1차 로트 2대 및 2차 로트 4대를 생산하기 위한 협상이다. 사업에 대한 운용평가(OPEVAL) 단계는 2017년 초에 시작되며, 초도생산 헬기 200대는 2019년부터미 해병대에 납품될 전망이다.최초 추진일정은 초도비행을 2011년 중반에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2015년 후반으로 지연되었다. CH-53K 헬기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CH-53E와 크기는 거의 동일하나, 외부 적재량을 3배 정도높였다. 기타 개선 사항으로 디지털 비행계기, 전자식 비행제어, 양력과 속도성능 향상을 위한 로터 블레이드 성능개량, 정비소요가 적은 로터헤드, 더욱 강력한 엔진, 화물 잠금용 레일체계, 외부 화물 취급방식개선, 생존성 향상 등 이다. 용어설명 1. LRIP : Low Rate Initial Production2.OPEVAL : Operational Evaluation
대만은 미국이 대만에게 판매하기로 한 페리(Perry)급 미사일탑재 호위함 4척 중 2척을 인수하기위하여 금년 2분기 안에 2명을 미국으로 파견하는 등 준비 작업에 착수하였다. 대만에 공급 예정인 호위함은 2017년이면 운용 기간이 30년이 지나 퇴역 예정인 Gary, Carr, Taylor및 Elrod함 등 4척이다.대만은 Knox급 호위함을 40년 이상 운용해오고 있으며 8척의 Knox급 호위함 중 금년 말에 퇴역예정인 2척을 페리급 함정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페리급 호위함의 만재 배수량은 4,100톤, 최대속력 30kts, 경제속도에 의한 항속 거리는 4,500해리 이다. 미 해군은 지금까지 건조한 50여 척의 페리급 호위함 중 현재29척을 운용 중이며, 1번함인 Oliver Hazard Perry함은 1977년12월에, 마지막 함인 Ingraham함은 1989년에 취역하였다.
태국 정부는 노후된 L-39ZA Albatros 대체 사업으로 획득을 추진 중인 신형 첨단 훈련기 기종 선정대상에 한국 KAI의 T-50도 포함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경쟁기종은 한국 KAI의 T-50과, 중국의L-15 Falcon, 러시아의 Yak-130, 이탈리아의 Alenia AermachiM-346 4개 기종이 되었다.최종 기종 선정은 올해 결정될 계획이며 사업 규모는 1억 1,300만 달러이다.태국 정부는 현재 1990년대에 체코로부터 도입한 40여 대의 L-39ZA Albatros를 운용 중인데 너무 노후화 되어 유지에 필요한 수리부속이 부족한 실정이고,2011년부터 2013년 사이에 도입된 JAS-39Gripen 12대에 이은 전력 증강의 필요성 등의 목적을 갖고 훈련기획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L-15 Falcon 초음속 훈련기 (사진출처 = wantchinatimes.com)이 중 KAI T-50 고등훈련기와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종은 중국의 L-15 Falcon 훈련기이다. 이 L-15 훈련기는 후기연소기를 가진 쌍발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복좌형 훈련기로 최대 이륙중량이 9,500kg, 최대속력 마하 1.4,
한국방위산업학회(회장 채우석)가 3월달 행사일정을 공개하였다. 행사일정은 아래와 같다. - 아 래 -1. 2015년 방산OB 3차포럼 (원로모임) - 행사개요 : 학회원로 회원들간 정보교류의 장 - 일시/장소 : 3월 3일(화) 11:00~13:00 / 전쟁기념관 뮤지엄 웨딩홀 - 참석대상 : 방산원로 어론 및 최근 (2013~2014년) 퇴임한 방산업체 간부2. 2015년 한국방위산업학회 정기이사회 - 행사개요 : 2014년 학회 활동보고 및 2015년 학회 활동 보고 - 일시/장소 : 3월 12일(목) 17:00~20:30 / 국방컨벤션센터 - 참석대상 : 한국방위산업학회 이사 및 운영진 간부3. 2015년 한국방위산업학회 정기총회/정책토론회/방산백서출판기념회 - 행사개요 : 2014년 학회 활동보고, 2015년 학회 활동 보고, 정책토론회 방산백서 출판기념회 병행- 일시/장소 : 3월 19일(목) 17:00~20:30 / 국방컨벤션센터- 참석대상 : 방산학회 이사, 운영진 간부, 방산식구들 (산·학·연·관·군)
1월 16일 인도 해군의 Mark Ⅳ project, Yard 2094 다목적상륙주정(LCU) 3번함의 진수식이 건조사인 GRSE사에서 있었다.이번 진수식에서 LCU L53함이라 명명된 상륙주정은 인도가 자체기술에 의한 복잡한 첨단 함정체계건조에 새로운 분기점을 이루었다는 의미가 있다. LCU L53함은 GRSE사가 건조 중인 8척의 상륙주정 중의 3번함이며 1, 2번함은 2014년 3월과 9월에 각각 진수하였다. 상륙작전 시 주력전차, 장갑차, 상륙병력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LCU는 추진시스템 통제와주·보조 발전장비를 원격으로 조정하는 첨단 통합플랫폼관리체계(IPMS)가 설치되었으며,CRN-9130mm 인도산 함포를 탑재하고 있다. LCU는 상륙작전 외에도 해상보호, 재난구호, 탐색 및 구조 그리고평화유지활동 등 다목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용어설명 1. LCU : Landing Craft Utility2. GRSE : Garden Reach Shipbuilders and Engineering LTD3.IPMS : Integrated Plarform Management Syste
폴란드 국방부는 파트리아(Patria)사의 폴란드 협력업체인 로소막(Rosomak)사에 약 9,000만 유로규모의 8×8 차륜형장갑차 AMV 200대를 추가 발주하였다. 파트리아사는 로소막사에 장갑차 200대용 구성품을 납품하고, 로소막사는 장갑차를 면허생산하여 2015~2019년에 납품할 예정이다. 폴란드는 2013년 10월에 파트리아사와 AMV 307대 구매 계약을 체결하였다. AMV는 최첨단 기술과 탑재능력으로 장갑차 기동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고도의 방호력과 무거운무기체계를 통합할 수 있다. 탑재하중이 커서 7.62mm나 105mm 포탑 체계 또는 120mm AMOS/파트리아 Nemo에 이르기까지 다양한형태의 무기체계 통합이 가능하다.기본 버전은 12.7mm 중기관총용 파트리아 PML 127 OWS 포탑 탑재, 전면 아크는 30mm 날개안정철갑탄에 대한 동급 최고의 방호력 제공, 최대 TNT 10kg에 이르는 지뢰 방호력 보장과 고객 규격에 맞는 모듈식 탄도 방호력 장착이 가능하다. 완전 무장한 병사 8~12명을 탑승시키며, 최대 주행거리는 800km이다.
미 제너럴 다이나믹스(General Dynamics)사와 록웰 콜린스(Rockwell Collins)사가 신형 무전기초도소량생산(LRIP) 계약의 일환으로 AN/PRC-155 휴대형 무전기 1,200대 이상을 미 육군에 공급하였다고 밝혔다. 2채널 PRC-155 무전기는 병사와 지휘관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연결 수단이며, 전투원 전술정보 네트워크(WIN-T) Increment 2를 통해 상호연결 한다.이 무전기는 2014년에 MUOS(Mobile User Objective System)위성통신체계를 사용하는 중요한이정표를 달성하였다. MUOS 위성을 사용하여 휴대폰 품질의 음성통신을 실시한다. 육군은 이 무전기 100대에 대한 첫 번째 계약을 2011년에 체결했으며, 현재 계약이 완료되면 5,300대 이상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너럴 다이나믹스사가 개발한 각종 무전기 등은 자사가 개발한 임무지휘 능력과 결합하여, 모든 병사들이 육군의 안전한 기간통신망에 연결할 수있도록 지원한다. 용어설명 ※ WIN-T : Warfighter Information Network-Tactical
덴마크는 휴대용 대전차로켓(RPG) 위협에 대한 방호력을 강화하고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단일 장갑체계로 암세이프(AmSafe Bridport Limited)사의 타리안(Tarian) 체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암세이프사는 12개월의 경쟁을 거쳐 7년 사업의 광범위한 차륜형과 궤도형 장갑차용 RPG 장갑체계 설계·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1월 7일 발표하였다.타리안은 RPG 방호에 매우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세계 동급체계 중 가장 경량이다. 영국 국방부와 협력하여 개발되었으며, 미국·영국·유럽에서 800여 발의 실사격 등 광범위한 시험을 완료하였다.2009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최초 운용되고 2012년 이후 다양한 영국군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타리안 체계의 RPG 무력화 메커니즘의 핵심요소는 고강도사로 제작한 극도로 강한 직물망으로, 손상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면서 거친 차량 운용조건을 견뎌낼 수 있도록튼튼하고 유연한 거치체계를 사용하여 장갑차량에 부착된다. 전통적인 철망형 장갑 RPG 방호와 비교하여 방호성능이 뛰어나고 무게가훨씬 가볍기 때문에 성능 향상, 적재량 증대 및 연비 개선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항공기 개발을 하고자 준비하였을 때, 대한민국에는 항공기 설계를 해 본 사람이 없었다. 그래서 스위스의 P사에 항공기 설계기술을 배워오라고 기술진들을 보냈다. 이것이 대한민국 항공기 독자개발의 시작이었다. 스위스로 날아간 우리 기술진들이 필기를 너무 열심히 하자 기술유출을 걱정한 스위스 P사는 공장에 입장할 때 필기구 지참을 금지시켰다. 그러자, 우리 기술진들이 담배각을 ‘줄자’ 대용으로 사용하여 각종 치수를 재고, 각 구멍마다 담배를 넣어 대략적인 사이즈를 잰 다음, 쉬는 시간에 화장실에서 수첩에 기록하고 이를 저녁에 호텔에 돌아와서 한국에 팩스로 보내 설계에 반영시킨 것이다. 이런 노력 끝에 탄생한 것이 우리 군이 사용하고 있는 KT-1 ‘웅비호’이다. 이렇게 시작된 대한민국의 항공기술 독립을 위한 몸부림은 T-50 초음속 고등훈련기에서 꽃을 피우면서, T-50 고등훈련기와 이를 개조한 F/A-50 전투기를 수출하는 쾌거를 이룩했다. 초음속 항공기 독자개발의 꿈이 실현된 것이다. 항공기 개발기술, 한번 탈락하면 영원히 뒤쳐지는 ‘냉혹한 세계’ T-50 개발사업은 F-16을 한국에서 면허생산하는 사업이었던 KFP 사업을 통해 기
영국 국방부와 MBDA사가 지난달에 체결한 신형 방공미사일체계인 FLAADS 개발·생산계약에 따라육군은 노후된 레피어(Rapier)체계를 교체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미래 국지 방공체계 의 사업규모는 3억 4,800만 달러이며, 초도장비는 2019년 말경에 납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지상기지용 FLAADS(L)의 요격미사일은 MBDA사의 시 셉터(Sea Ceptor)체계에서 사용하는 미사일과 동일한 CAMM을 사용한다.공통 모듈식 대공미사일 시 셉터는 영국 해군이 Type 23 호위함에 최초로 장착하였으며, 이미주문이 완료되었다.현재 진행 중인 FLAADS에 대한 평가작업을 통해 지휘통제, 차량형태, 지상환경에 필요한 기타 장비 등을 검토하고 있다. 초기 시연용 차량에서는 트럭에 탑재된 수직발사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용어설명 ※ FLAADS : Future Local Area Air Defense System,※ CAMM : Common Anti-air Modular Missile,
트래킹포인트(TrackingPoint)사는 자체 제작한 스마트 소총을 미군이 시험에 착수했다고 밝혔으며, 육군은 본 정밀유도 소화기 6정을 획득하였고, 가격은 1정당 27,000달러 정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소총은 경험이 없는 사수가 사격했을 때 약 70% 인원이 1,000야드 떨어진 표적을 첫발에 명중시킬 수 있다.트래킹포인트사에 따르면 이 기술이 저격수를 위한 것이 아니라 저격거리에서 표적을 사격해야 하는일반 사격수를 염두에 둔 것이며, 일반 병사들에게 더욱 적합하다고 한다. 트래킹포인트사는 민간시장을 겨냥하여 이 소총을 제작했지만 군에 잠재적 적용 가능성을 인식했다.이 소총은 네트워크화 되어 있는 전장에서 조준경을 통해 해당 표적을 다른 사수에게 인계할 수 있는등 표적 지정과 추적에 있어 전반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이 체계에는 영상을 수집하는 센서와 대기조건, 코리올리 효과(Coriolis effect)에 의한 약간의 편차와 같은 탄도 데이터를 보정하는 컴퓨터가 포함되어 있어서 무선으로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태블릿 컴퓨터에 정보를 보내 탄착 수정이나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이란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Saeghe(의미 Thunderbolt) 전투기 양산에 착수했다고 국영 언론매체가발표하였다. Saeghe 전투기는 2007년에 최초 공개되었으며, 기본적으로 F-5E 전투기를 개량한 것이다. 이란은 F-5E 전투기를 1979년 141대 조달하여 이중 31대를 운용 중이며, 이중 24대를 Saeghe 전투기로 전환할 계획이다. F-5E 전투기를 Saeghe 전투기로 개량하는 작업은 이란 항공기 제작회사인 HESA사가 수행할 예정이다.Saeghe 전투기의 가장 눈에 띄는 개량사항으로는 쌍으로 된 미익 형상이다. 이는 보잉사 F/A-18 호넷(Hornet) 시리즈 항공기와 비슷한 모양이다. 전투기의 엔진 또는 항공전자장치 등은 어느 정도 개조되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Jane's사에 의하면 러시아가 많은 내부 체계를 공급하였으며, 노드롭그루먼사의 F-14A 톰캣(Tomcat) 전투기 및 MiG-29 펄크럼(Fulcrum) 전투기에 사용되는 구성품을 적용하였을 수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보잉사와 리퀴드 로보틱스사(Liquid Robotics)의 공동 팀은 최근 항해 중 포집된 파도와 태양에너지로 추진력을 갖는 자율 무인수상 및 잠수정인 웨이브 글라이더 SHARCs의 공개 시연을 하였다. SHARCs는 수중과 수상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태양과 파도 에너지를 저장해 추진하는 리퀴드 로보틱스사의 SV3을 기본으로 하여 설계되었다. 보잉사와 리퀴드 로보틱스사는 2014년 9월, 기존 SV3의 성능개량을 통한 SHARCs 공동제작 계약을 체결하였다. 연료 공급 없이 수년간 항해가 가능하며 허리케인과 같은 폭풍, Sea State 8의 악조건에서도 항해가가능하다. 평균 지속 속력 2kts로 3일에 100해리를 항해할 수 있다. 100lbs의 적재물을 탑재할 수 있으며 정보·감시·정찰(ISR), 대잠전 등과 해양수로 조사, 기후변화 및 해양산성화 조사, 조업관리 등의 목적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미 해군을 포함해 호주, 노르웨이, NATO 등 여러 나라에서 운용 중에 있다. 용어설명 ※ SHARCs : Sensor Hosting Autonomous Remote Crafts
미 캠이미지(ChemImage)사가 미 육군 에지우드화학생물센터(ECBC)와 화학지문식별체계(CFIS)개발 관련 계약을 체결하였다. 지문을 통해 특정인에게 있는 특정 마약 또는 폭발물 입자를 식별하는 능력으로 군이나 법 집행기관이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여 테러분자나 범인의 체포·처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계약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두 개의 CFIS 장치 생산과 ECBC에서 실시하는 CFIS 관련 정부 성능평가시험 참여가 계약에 포함되어 있다. 캠이미지사의 사업담당 이사는 “CFIS는 폭발물 및 마약 잔류물 탐지관련 제품으로 법 집행활동 지원을 위해 위협 잔류물식별용 탐지체계를 공급하는 유일한 전문업체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용어설명 ※ECBC : Edgewood Chemical Biological Center※ CFIS : Chem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미 육군이 공개 경쟁방식으로 소총병용 무전기를 추가 조달하기 위해 제안요청서를 발표하였다.계약체결은 2015년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양산은 2017년에 할 계획이다. 이러한 획득전략으로 조달비용은 줄이면서도 재정적 제약 하에 전술통신 네트워크 현대화 추진이 가능하게 되었다.미 육군 목표는 우수한 성능을 갖춘 무전기를 조달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는 빠른 처리장치, 증가된출력 및 배터리 수명, 중량 감소 등이 포함된다. 소총병용 무전기는 음성 및 데이터를 가시선을 초월하여 전송한다.소총병용 무전기는 전투원 전술정보 네트워크(WIN-T)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백본으로 활용한다. 또한 휴대폰 형태의 장치를 사용하여 Nett Warrior 체계에 연결할 수있으며, GPS 기술을 이용하여 상호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육군은 이미 소총병용 무전기 21,379대를 구매하여 아프가니스탄에서 작전 지원업무에 투입하였다. 현재 전투여단에 추가 배치가 진행 중이며, 궁극적으로는 전군에 배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용어설명 WIN-T : Warfighter Information Network-Tac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