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에어버스 DS사가 런던 정보·보안 박람회(Infosecurity Europe, ‘15.6.2~4.)에서 지능형 지속위협(APT)에 대응하기 위한 신형 사이버센서를 공개하였다.킬백 네트(Keelback Net)로 불리는 이 센서는 트래픽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네트워크상의의심스러운 행위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다.특히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탐지가 불가능한 은밀한 약신호(weak signal)도 포착이 가능하다. 킬백 네트 센서는 여러 가지 분석방법과 능력을 결합하여 신속한 탐지가 가능하고, 보다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 센서는 사이버 공격이 교묘해지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DS사 관계자는 밝혔다. 용어설명 ※ APT : Advanced Persistent Threat
2015-06-15 09:04베트남 해군은 호치민시에 위치한 국영 바손(BaSon)조선소에서 건조한 타란툴 Ⅴ급 미사일초계함(프로젝트 1241.8)인 HQ-379(M3), HQ380(M4)등 2척을 인수하였다고 밝혔다. 초계함의 전장은 59.9m이며 76mm 주포와 근접방어체계의 역할을 하는 AK-630 포 2문과 SS-N-25(KhUran) 함대함 미사일(16발) 발사체를 탑재하고 있다. 최고속력은 36kts, 항속거리는 20kts로 2,000해리이며, 승조원은 46명이 탑승함. - 프로젝트 1241.8 모델은 인도와 베트남에 수출된 러시아의 타란툴급(프로젝트 1241, 일명 몰리야급)형을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러시아 모델에 비해 개량된 엔진이 탑재되었다. HQ-377과 HQ-378함은 2014년 7월에 취역하였고 차기납품물량 2척은 2016년 중반으로 예정된 상태이다.
2015-06-10 12:24독일 국방부는 5월 22일 연방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주력전차(MBT) 레오파르트(Leopard) 2후속전차 개발계획을 발표하였다. 의원들은 2014년 10월에 국방부가 MBT 요구를 검토·재평가하고 궁극적으로 레오파르트 2 후속전차를계획하도록 요청하였다. 1979년에 운용을 개시한 레오파르트 2 운용수명 50년은 2030년에 끝날 예정이어서 새로운 전차 개발이필요한 상황이다. 독일은 1980년대 초 군비경쟁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이 전차를 2,000대 이상 운용했었으나 현재는 225대만 운용하고 있으며, 2015년 4월에 우크라이나 안보상황을 언급하면서 예비 레오파르트 2를 재운용하여 328대로 증가시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서부 유럽국가 MBT 전력이 냉전 종료 이후 크게 저하되었지만, MBT 가치는 최근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입증되고 있다.2015~2018년에 추진될 능력연구에 독일과 프랑스가 미래 MBT에 대한 기술과 개념을 검토할 예정이며, 여기에는 독일 신형 보병전투장갑차 푸마(Puma) 기술이 포함될 예정이다. 신형 전차가 완전히 새로운 설계로 될 것인지 아니면 현행 레오파르트 설계에 혁신적 최신화를 할 것인지여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확인된
2015-06-10 12:17캐나다 콩스버그 갈륨(Kongsberg Gallium)사가 장갑차 통합지휘체계(ICS)에 주변 전장 지형을정찰할 수 있는 경량 비행드론을 통합하는 새 버전을 공개하였다.ICS는 NATO에서 기갑 전투 차량의 모든 센서 및 체계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체계이다. ICS 플랫폼은 지휘관에게 전장상황인식, 즉각적 위협, 차량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의 모든센서와 체계를 제어 및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콩스버그사는 최근 이 플랫폼에 프록스다이나믹스 PD-100 블랙 호넷(Black Hornet) 드론을 추가로통합하였다.병사들이 군복 주머니에 휴대하다가 차량 해치를 통해 쉽고 빠르게 소형 비행 드론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드론이 수집한 잠재적 위협, 매복 또는 장애물 등의영상 및 위치 데이터는 차량의 ICS 디스플레이로 직접전송하게 되다. 2012년 5월에 출시된 PD-100 블랙 호넷은 아프가니스탄에서영국군이 세계 최초로 작전 운용한 나노 무인항공체계이며, 2016년 NATO 전투 차량에 배치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용어설명 ※ ICS : Integrated Command System
2015-06-09 21:20통신 및 항공전자 솔루션 전문기업인 록웰 콜린스사는 한국공항공사와 티웨이항공과 자사의 글로벌 항공통신 서비스인 ARINC 글로벌링크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동북아시아 항공수요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항공기와 육상간의 통신수요는 증가하고 있어 록웰 콜린스사의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고 록웰 콜린스 관계자는 밝혔다.록웰 콜린스의IMS아태지역 본부장인 헤이먼트 존 쿠리안(Heament John Kurian)은 “록웰 콜린스의 메시지 통신 전문성과 한국시장에 대한 이해가 결합해 두 우수한 업체의 항공 통신요구사항을 지원하는 안정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며,“두 건의 중요한 계약은 록웰 콜린스가 한국과 전 지역에 걸친 사업 확장 및 투자 전략을 성공으로 이끌도록 하는 주요 단계”라고 말했다.록웰 콜린스가 구축중인 네트워크는 항공기 운항정보 교신시스템인 ACARS를 활용해 항공기사전출발허가와 디지털공항정보 자동안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10배에 달하는 처리용량을 가진 초단파(VHF) 디지털 링크 모드(VDL MODE)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2015-06-09 18:55프랑스 CMI사의 자회사인 CMI 데팡스(CMI Defence)사는 SILKAN사가 함께 ‘AGUERIS’라는 명칭의합작회사를 설립하였다고 밝혔다.신설회사는 지상군 시뮬레이션과 훈련 부문을 새롭게 주도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CMI사는 장갑차 무기체계 부문의 선두업체이고, SILKAN사는 가상 시뮬레이션 부문 선도기업이다.합작을 통해 개발된 솔루션들은 실제 전투 하드웨어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훈련과 임무 예행연습을위한 내장형 시뮬레이터로서의 기능을 구현함하게 된다. 이 체계에는 고성능 시뮬레이션 엔진, 대화형 교관실(instructor station), 고화질 이미지 생성 기능이 포함된혁신적인 몰입형 디스플레이가 포함한다. 또,포탑 운용요원 훈련을 위한 성능이 우수한 포탑 내장식 훈련 시뮬레이션 체계개발도 포함된다. AGUERIS사(2015. 4. 30. 설립)는 지상군을 위한 광범위한 전술적 훈련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델링과 시뮬레이션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적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5-06-09 12:58영국 해군의 미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을 방호하기 위해 신형 헬기 탑재형 감시체계가 선정되었다. 영국 국방부는 크로우스네스트(Crowsnest) 능력의 핵심인 레이더 및 임무체계 제공업체로 탈레스사 선정하였다. 크로우스네스트 조기경보체계는 1982년 이래 운용되어왔던 시 킹(Sea King) 헬기의 공중감시 및 통제능력을 대체할 예정이다.크로우스네스트 조기경보체계는 해군의 차세대 항공모함에 대한 장거리 공중·해상·지상탐지능력뿐만 아니라 잠재적 위협에대한 추적능력도 제공할 예정이다. 미래 항공모함은 신형 멀린 Mk2 헬기에 탑재되는 크로우스네스트 체계를 통해 필수적인 감시·정보능력과 함께 최고의 방호력을 갖출 것으로 분석된다.크로우스네스트 체계는 헬기 아래에서 360° 시계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체계를 사용하는 단일 기계적 스캔 레이더 헤드로 구성되었다. 멀린 Mk2 헬기는 세계 최첨단 해상작전헬기로서 이미 대잠전 및 인도주의적임무수행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2015-06-08 08:59인도 해군이 이스라엘과 공동으로 개발한 장거리 함대공 미사일 바락(Barak) 8에 대한 시험발사를조만간에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험발사가 성공할 경우, 바락 8 미사일을 인도 전함에 탑재 가 추진된다. 이 미사일은 2014년 11월 이스라엘에서 시험발사에 성공하였다. 이 시험은 콜카타 구축함에서 실시할 계획이며, 발사장치와 미사일 추적레이더는 이미 설치되었다.이 미사일은 이스라엘 IAI사, 인도 국방연구개발기구, 이스라엘 국방부 연구· 개발처, 엘타시스템사, 라파엘사 및 기타 업체들이 공동 개발 중이다. 바락-8 미사일은 사거리가 70km이며, 국영 BDL사가 양산하고 이 중 32발을INS 콜카타함에 초도배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바락 8은 이스라엘이 제작한 MF-STAR 레이더체계로 접근하는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 이 체계는 250km 이상의 거리에 있는 수백 발의 공중표적을 동시에 추적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5-06-06 15:56미국의 Aerojet Rocketdyne(AJRD)사는 공군의 HBTD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새로운 개념의 로켓 엔진에 탑재되는 고산소 예연소기(oxygen rich preburner) 축소 모델의 연소시험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이 연소시험은 미국 최초로 설계한 25만 파운드 추력의 ORSC 연소사이클 로켓 엔진의 예연소기에서 액체 산소와 액체탄화수소연료(케로젠)을 연소하는 시험이었다.고산소 예연소기는 탄화수소 로켓 엔진의 고추력 ORSC 연소사이클을 구성하는 핵심 구성품으로 미 공군과 AJRD는 5월 26일~28일에 거쳐 연소시험을 완료하여 중요한 기술단계를 시연하였다.미국은 러시아에 비해 뒤떨어진 고추력 탄화수소연료 로켓 엔진기술 개발을 위하여 1억 3,000만 달러규모의 HBTD 프로그램을 AJRD사와 함께 추진 중인다.현재 미국은 러시아 탄화수소 로켓 엔진의 설계를 도입하여생산하고 우주왕복선 프로그램 등에 사용하고 있다. ORSC 사이클 로켓 엔진은 탄화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며 고체연료 로켓이나 다른 액체연료 로켓에 비해 가볍고 추력이 높은 특징이 있다. 용어설명 1. HBTD : Hydrocarbon boost technology demonstrat
2015-06-06 15:50캐나다 인터아모 임펙스(Interammo Impex)사는 CANSEC 방산전시회에서 몇 초 이내에 표준형권총에서 카빈 소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신형 아스날 파이어암(Arsenal Firearms) AF1 스트라이크원(Strike One) 반자동 권총체계를 전시하였다.스트라이크 원은 표준형 권총 형태일 경우 127mm 총열을 장착하며, 소음기 지원을 위해 144mm 총열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 총열 축은 동급체계 중에서 가장 낮은 손잡이 상부 12mm 지점에 위치하여 탁월한 제어와 정확성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전 사격 동안 다양한 총구 장치들을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장거리 전환(LRC) 키트는 300mm 총열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카빈소총으로의 신속한 전환이 가능하다.장사거리용 총열의 경우 100m 이상의 사거리에서 100%타격능력을 제공하며, 9×19 Para, 9×121 IMI, Cal .357SIG, Cal .40 SW탄을 사용하고, 권총의 탄창은 9mm탄17발, Cal .357탄 및 Cal .40탄 13발을 장입할 수 있다. 용어설명 1. LRC : Long-Range Conversion
2015-06-05 23:57켄타우로(Centauro) 2 첫 시제가 시험단계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국방참모총장에게처음으로 보고되었다고 브라질 웹사이트 DefesaNet가 보도하였다. 켄타우로 2는 8×8 차륜형 구축전차 B1 켄타우로를 교체할 예정으로, 첫 번째 요구수량이 74대이며 비슷한수량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현재는 시제차량 제작이 포함된 개발단계에 자금지원 중이며, 6월에 시제차량 확인시험단계 착수, 가을에장갑차를 공식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20mm 포탑재 켄타우로는 이탈리아 군용으로 개발 중이며, 오만에도 수출되고 있다. 신형 센타우로 2는 최대총중량이 약 30~35톤이고, 출력대 중량비가 높은 720마력 터보디젤엔진과신형변속기로 구동되며 우수한 야지성능을 발휘한다. 최근 시험에서 새롭게 설계한 차대 덕분에 지뢰와 급조폭발물에 대한방호력이 향상되었다. 120mm 활강포 탑재 오토멜라라사 신형 힛팩트(HITFACT) 포탑을장착하고, 포탑은 고도의 모듈식 구조로 사통장치·장갑·무기(120mm및 105mm 강선포)를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2015-06-05 22:18영국 MCL(Marlborough Communications Limited)사가 경량전자감시능력(LWESC) 사업과 관련하여 영국 국방부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계약으로 PRD-13(V)3 체계를 강화하여 대부분의 전파 스펙트럼을 탐지하고, 신호정보(SIGINT) 및상황인식 능력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MCL사는 휴대형 안드로이드 기반의 PRD-13(V)3 체계를 납품하게 된다.이 체계는 프로세서 연결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이 이동식 체계는 프레임이 경량이며, 안테나 및 무선장비를 지원하고, 눈에 띄지 않게 군장에 담아 이동간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CL사는 전자 감시 능력 분야에서 영국군 병사들에게필요한 능력을 제공하고 있다.용어설명1. LWESC : Light Weight Electronic Surveillance Capability2. SIGINT : Signal Intelligence
2015-06-05 2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