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군용 레이더 시장 규모가 2019년에 84억 4,000만 달러에 이른다고 Transparence MarketResearch 시장조사기관이 예측했다. 이 시장 예측보고서는 동 기간 중 군용 레이더 시장이 연 평균 2.9% 비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 보고서는 군용 레이더 시장을 형태와 지리적 지역에 기준을 두고 분류하였다고 밝혔다.지리적으로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태평양 그리고 나머지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형태별로는 공중·해상·우주기반·지상기반 레이더로 분류하였다.세계 군용 레이더시장의 성장 요인으로 안보 및 경제적 우려 증가, 증가하는정부의 국방 투자, 경량 레이더 및 표적인식에 대한 수요, 전략적 동맹 및국경 방호 등을 지적하였다.가장 규모가 큰 군용 레이더시장은 북아메리카이며, 그 다음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이 해당된다고 밝혔다.군용 레이더를 가장 많이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는 미국·인도·중국·일본·한국 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4-12-29 00:05인도가 탄도미사일 탑재 핵추진 잠수함에 대한 첫 번째 해상시험을 12월 15일 착수했다고 USNI 통신사가보도했다.핵추진 잠수함인 아리한트(Arihant)함은 길이 112m, 중량 6,000톤이며 탄도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게 설계 되었다.이 잠수함 개발사업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이 사업을 통해 핵 억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체잠수함 건조를 추진하고 있다.아리한트함은 러시아의 아쿨라(Akula)급 잠수함 설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핵탄두를 장착한 사가리카(Sagarika)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12발을 탑재할 수 있다.사가리카 미사일의 사거리는 약 435마일(약 805km)이다.핵 공격에 대한 보복공격 능력 구축은 선제적 핵 타격을 못하도록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주변국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2014-12-29 00:05미국 의회 지도자들은 제너럴 다이나믹스사 공장의 생산 중단을 방지하고자하는 노력의 일부로 국방지출법안에서 주력전차 M1 Abrams 성능개량사업용 예산 1억 2,000만 달러를 신규 책정했다고 공개했으며, 이는 육군 중(重)형 차량사업용 몇 가지 증액 예산 중 하나이다.원래의 다년간 계약은 2008년 2월에 체결되었으며, 이 계약에 따라 육군이 20년 이상 동안 재고로 보유하고 있던 M1A1전차 435대에 대한 성능개량이 승인되어, 제너럴 다이나믹스사는 M1A2 SEP V2 형상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계속 중이다.M1 Abrams 전차의 최신 버전인 M1A2 SEP V2 형상은 기술적으로 최첨단 디지털 전차로 개선된 컬러디스플레이, 주야간 열상조준경, 원격조종 무장장치(CROWS I), 전차-보병간 전화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2014년 초에 Abrams 전차 성능개량사업은 터빈 엔진 공회전 시간 감소와연비 개선을 위한 보조 동력장치 통합과 관련된 상세설계검토를 완료하였으며, 전차 조준경 및 센서도 성능개량 예정이다.
2014-12-29 00:05GD사의 계열사인 GDEB(General Dynamics Electronic Boat)사가 미 해군과 미래 해저 플랫폼에 대한 첨단 잠수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3,650만 달러 수정계약을 체결하였다.2010년 최초 계약된 당시 계약은 5년간 잠정비용이 7,106만 달러이다.이 계약에 따르면 GDEB사는 제조성, 정비성, 생존성, 유체역학, 음향학, 재료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술에대하여 첨단 잠수함 연구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적정가격, 인력, 선체 통합성, 성능, 조종, 군수, 무기 운용 및 안전을 포함한 부가적인 범위의 연구개발업무도 수행하게 된다.이 계약은 단기적으로 버지니어급 기술 보강, 미래 잠수함 개념 및핵심기술 연구를 지원하게 된다.
2014-12-29 00:04인도가 국내에서 개발한 Pinaka Mark-II 로켓 개량형을 오리사 주의 방어기지에서 성공적으로 시험발사했으며, Chandipur 시험장에서 실시된 이 시험은 성능인증 연구소(PXE :Prof Experimental Establishment)의 지원을 통해 진행되었다.PTI사는 60km 이상의 사거리를 가진 Pinaka Mark-2 사거리 연장 개량형 4발을 성공적으로 시험발사했으며, 다음 4일 이내에 추가적으로 몇 발을 더 시험할 예정이다. Mark-II 로켓 개량형은 신속한반응시간 및 높은 사격률로 인해 육군의 저강도 분쟁 상황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Pinaka 로켓체계 1개 포대는 6대의 발사차량으로 구성되며, 4초이내에 로켓 12발을 일제 사격하여 3.9km2 표적지역을 무력화할 수있다. 또한 몇 종류 탄두를 통합할 수 있어 적의 견고한 구조물 및벙커를 파괴하며, 적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가할 수 있다. Pinaka는 다연장로켓으로 인도 국방연구개발기구에서 사거리 40km인Mark-1을 개량하여 개발하였다.
2014-12-27 21:58영국 BAE시스템사는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에 최초로 브림스톤(Brimstone) 공대지 미사일의 장착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이시험은 전투기 각 날개에 설치된 발사대에 시험용 미사일을 각각 3발씩 총 6발을 장착하였다.브림스톤 2 미사일은 영국 공군에 2018년까지 통합할 예정이다. 이중모드 탐색기를 장착한 브림스톤 성능개량 버전인 브림스톤 2는 지상과 해상의 고속 표적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미사일은 영 공군이 아프가니스탄 및 리비아에서 전투작전에서 부수적 피해가 적은 근접항공 지원무기로서의능력을 이미 입증하였다.브림스톤 2 미사일 제원은길이 1.8m, 직경 180mm, 중량 50kg이며, 최고속도는 450m/s이다. 최대사거리는 60km이고, 관성항법유도 및 밀리미터파(94GHz) 레이더 탐색기를 사용하며, 이중모드에는 반능동 레이저탐색기가 추가된다.
2014-12-27 19:25Ultra Electronics사가 2050 소나 기술혁신 프로그램(S2050TR)을 계약했다고 밝혔다. 이 계약은 10년간 수행되며, Ultra사가 영국 해군의 8함대 23형 호위함의 신규 선체에 소나를 요청하여 납품하게 되었다. S2050 기술혁신 프로그램(S2050TR)은 상당히 적은 비용으로 잠수함과 미사일 위협을 지속적으로감시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소나능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Ultra사는 최근 많은 해외 계약으로 성장하는 세계시장에 충족하는 소나의 기술을 가지고 있어 세계의선도적인 많은 솔루션을 통합하며, 영국 해군에 낮은 위험 솔루션으로 첨단체계를 제공하게 될 전망이다.Ultra사 사장은 2050 소나 기술혁신 프로그램(S2050TR)을 계약하게 된 것은 상당한 기회이며, 영국 해군에게 지속적으로 첨단소나체계를 공급하고 지원하는 능력을 보여 줄 것이라고 밝혔다.
2014-12-27 19:16터키 방산업체 Otokar사는 Altay MBT의 오만 수출 가능성에 관해 여러 언론매체들이 보도한 이후, 2013년 8월에 오만의 MBT 7대 조달 입찰 경쟁에 참여했음을 확인하는 발표를 하였다. 터키 방위사업청(SM)의 승인을 통해 입찰 참여하였으나, SM 관계자들이 Altay와 같은 자국산 플랫폼의 수출은생산업체가 관리하게 될 것이라고 예전에 밝힌 바에 따라 업체가 발표한 것으로 해석된다.Altay는 터키 육군용 차기 3세대 주력전차로 첫 시제품은 터키 최대 민간 방산업체 Otokar사가 설계와개발을 맡아 2012년 1월 15일 최초 공개하였다. 주무장은 120mm 활강포로서 다양한 종류의 포탄사용이 가능하다.터키 MKE사가 120mm 활강포를 제작하였으며,Roketsan사는 모듈식 장갑 패키지 개발 및 Altay장갑체계에 대한 설계·개발을 하였다.
2014-12-27 18:35미 육군이 무인항공기 충돌을 예방하는 지상기반 감지 및 회피(GBSAA :Ground-Based Sense and Avoid) 레이더체계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첫 체계가 텍사스 주 Fort Hod에 인도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Fort Hod에는 육군의 가장 큰 무인항공기인 MQ-1C Gray Eagle기 2개 중대가 위치하고 있다.GBSAA 레이더체계는 미 육군 5개 시설에 설치 예정이며 설치지역은 Fort Hod, Fort Riley, Fort Stewart, FortCampbel, Fort Drum 이다.GBSAA 체계는 2015년부터 전 군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육군은 공중기반 감지 및 회피(ABSAA :Airborne Sense and Avoid) 기술보다는 지상기반체계 개발을 선택하였다. 그이유는 육군의 무인항공기가 미 공군 항공기에 비해 크기가 작고, 출력도 낮으며 레이더 설치 공간이 적기 때문이다.미 국방부의 장기목표는 국가 공역을 무인항공기에 개방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인항공기가 유인항공기가 할 수 있는 것처럼 확실하게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4-12-27 18:17미군의 MUOS(Mobile-User Objective System) 위성통신체계 통신위성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 극대화를 위해 록히드마틴사가 새로운 무선단말 개발 및 인증시설을 개소했다. 무선시험접속시설(TRAF :Test Radio Aces Facilty)은 MUOS 무선단말 및 정부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신속하게 개발·시험·인증할 수있도록 지원한다.TRAF의 지상 테스트베드 및 위성 시뮬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운용환경에서 새로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애플리케이션을 시험 및 확인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2015년에 미 해군의 MUOS 네트워크 통신권역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 이동 중인 전투원들을 위해 보다개선되고 안전한 전술통신 능력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MUOS 위성통신체계가 완전히 운용될 경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기술을 통해 단말 사용자들에게 안전하게 연결하게 되면단말 사용자가 세계 어느 장소에 있더라고 명확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이 가능해 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2014-12-27 18:06세르비아 YugoImport사가 2014년 파키스탄 국제방산전시회(IDEAS:International Defence Exhibiton and Seminar)에서 포병체계인 NORA-B52K1B 155mm, NORA B-52K1 155mm 52구경장, SOKO SP R 122mm 등 3개 형태 모델을 출품하였음.NORA-B/52계열 155mm 자주포병체계는 Yugolmport-SDPR사가 개발하여 양산에 착수한 첫 복합전투체계로 52구경 포신을 장착하고 있다. 개방형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있어 하부체계를 사용자의특정한 요구조건·필요/가용 예산에 따라 체계에 통합될 수 있다.이 곡사포는 자동화된 현대식 사격통제체계와 임무정보체계를 적용함으로써 고도의 전술·운용 기동성, 사격 후 즉각적인 진지이동 및 전환 능력 그리고 신속한 임무준비 태세가 가능하다.곡사포의 사거리는 ERFB/B(Extended Range Ful-Bore/Base Bled)탄약 사용 시 42km, 개발 중에 있는ERFBRA/B 탄약 사용 시 56km이며, 탄약탑재는 36발로서 12발은 사격대기상태로 24발은 전방 운전석 후방 탄약저장공간에 보관한다.
2014-12-23 01:45미 해군 작전사령부는 CRIC (Chief of naval operation’s Rapid Inovation Cel)프로그램에 의해 추진 중인 Silent NEMO사업의 일환으로 생체모방형 무인잠수정인 ‘GhostSwimmer’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이 무인잠수정에 대한 해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Boston Enginering사가 제작한 참치 크기의 무인잠수정은 지난 몇 주 동안 다양한 조류·해류·파도· 기상시험조건에서 차기 개발단계 진입을 위한 다양한 정보수집 능력 입증시험을 진행하였다.정보감시 및 정찰 임무에 투입되는 GhostSwimmer의 요구 제원에는 길이 1.5m 이내, 중량 45kg 이내, 수중 25cm에서 90m까지 잠수능력과 저피탐지 성능 등이 포함되어 있다.물고기처럼 꼬리를 흔들면서 유영하여 프로펠러에 의한 추진보다는 상대적으로 조용하며, 무인시스템기술과 독특한 추진 및 조종 기술이 조합되어 있다. 노트북을 이용하여 152m까지 유선(tether) 원격조종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동력원은 전지를 사용하다.CRIC은 미 해군이 가장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신기술들을 빠르게 식별하고 무기체계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2014-12-23 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