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병기본부가 주력전차 르클레르(Leclerc)를 2040년 이후까지 유지하기 위해 약 3억 3,000만유로 규모의 성능개량 계약을 넥스터 시스템스(Nexter Systems)사와 체결했다고 밝혔다.넥스터 시스템스(Nexter Systems)사는2020년부터 성능개량한 르클레르 200대와 성능개량한 DCL 구난전차 18대 납품할 전망이다.1992년에 프랑스 육군 표준 주력전차로 운용되기 시작한 르클레르는 계획된 작업을 통해 미래SCORPION 합동전술그룹 내에서 화력과 기동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신형 전술무선체계 CONTACT와 SCORPION 정보·지휘체계 SICS 전용 인터페이스 개발을 통해 미래SCORPION 합동전술그룹 모든 구성요소와 효과적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성능개량한 르클레르는특수 장갑키트 개발을 통해 방호력을 개선하여 급조폭발물 등의 새로운 위협에 대응이 가능하며,120mm 활강포(열 소매와 포구감지기 장착), 자동장전체계를갖추고 야지에서 이동표적에 대한 기동 간 사격이 가능,7.62mm 대공포 및 12.7mm 동축기관총을 탑재할 전망이다.
2015-03-30 10:49미 국방고등연구기획국(DARPA)은 상업 시간척도 배열(ACT) 사업 지원을 위하여 레이시온사와 500만달러 규모의 두 건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ACT 사업은 신속한 성능개량 및 폭넓은 배치가 가능한 레이더 배열 아키텍처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레이시온사는 ACT 사업에 신속배열성능 개선 및 배치(RAPID) 개념을 활용하고 있다.RAPID는 경상외비용 절감과 위상배열장치의 개발·배치·성능개량관련 일정의 단축을 지향하고 있으며,디지털화된 공통 모듈로 제작된 빌딩 블록과 재구성형 방사 안테나소자 생성을 통해 실현하였다.RAPID 사업은 합리적인 비용으로 신속하게 이용 가능하며, 진화하는 위협에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최선의 솔루션 제공을 위해 레이시온사와 DARPA 간에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협업 사례이다. 용어설명1. ACT : Arrays at Commercial Timescales2. RAPID : Rapid Array Performance Improvement and Deployment
2015-03-30 10:41말레이시아는 2세대 순시함인 연안전투함에 노르웨이 콩스버그(Kongsberg)사의 해군용 타격미사일(NSM)과 유럽연합 MBDA사의 VL MICA 미사일체계를 장착할 예정이라고 해군 소식통이 발표 하였다.. 말레이시아 해군과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2년부터 2세대 순시함에 장착할 유도무기체계 선정을 놓고 논쟁이 이어진 바 있다.말레이시아 해군은 함대공 미사일로 레이시온사의 RIM-162 ESSM, 대함미사일로 NSM을 건의하였다. 이들 미사일은 MBDA사의 VL MICA 미사일 및 MM40 Block 3 엑조세 미사일에 대한 평가 이후에 선정되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DCNS사의 SETIS 전투관리체계를 사용하는 고윈드(Gowind) 설계에 통합을 단순화하기 위해 VL MICA 미사일 선정을 지시하였다.이미 사용하고 있는 엑조세 미사일을 채택 시에는 군수지원 단순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말레이시아 해군은 예산을 바탕으로 한 정부의 결정보다는 해군의 이익이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정부의 미사일체계 채택에 반복적으로 거부 의사를 표시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용어설명 1. NSM : Naval Strike Missile2. VL MICA : Verti
2015-03-30 10:19IDEX 방산전시회에서 스위스의 주요 방산업체인 RUAG 디펜스(RUAG Defence)사가 최신의 혁신적120mm 코브라(COBRA) 박격포체계를 공개하였다. 이 박격포체계는 민첩성·정밀성·효과성으로최신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최대의 융통성과 운용상 단순성을 발휘한다. 코브라 박격포체계는 개별적인 요구사항에 따라 구성할 수 있는 모듈식체계이며, 어떠한 상황에도장전이 가능한 반자동식 장전체계를 장착하고 있다.이 코브라 박격포체계는 9km 유효사거리에서 신뢰성 및 정확도로 표적을 타격할 수 있게 하고, 사격후 신속한 이동(shoot-and-scoot) 능력을 개선한 완전 전자식 구동체계를 특징으로 한다. 컴팩트한 설계로 어떠한 궤도형 또는 차륜형 경량 플랫폼과도 손쉽게 통합될 수 있다. 또한 RUAG사의 탄도 계산기를 통합함으로써 자동적인 포 방열 및다수의 포탄을 한 지점에 동시에 착탄시키는 MRSI(Multiple RoundSimultaneous Impact) 능력을 발휘하며, 최신 스마트 탄약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표준형 120mm탄을 사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15-03-30 10:06영국 해군의 Type 45 데어링급 다이아몬드함이 성능개량을 모두 마치고 인도되었다. 지난 해 7월부터 착수한 성능개량 작업에는 하푼미사일 시스템 설치, 통신시스템과 IT 장비 성능 개량, 새로운 가스터빈엔진과 신형 고압 염수 및 공기 시스템, 안전기(stabilizer) 설치 등이 포함되었다.다이아몬드함은 앞으로 몇 개월간 해상시험을 마치고 승조원의 해상 운용 훈련, 전투력 시험, 피해통제기술 습득 등이 이루어진 후 2016년에 재배치 될 예정이다. 영국 해군이 총 6척을 보유하고 있는 데어링급 대공구축함은 배수량 8,000톤, 전장 152.4m, 함폭21.2m, 최대흘수 7.4m이며 최고속력은 30kts, 항속거리는 18kts로 7,000해리이다. 48셀 Sylver A50 수직발사체와 AGM-84 하푼 대함미사일 8문, Sea Viper 함대공미사일, Aster 15와 Aster 30 대공미사일을탑재하고 있으며 링스 헬기 2대 또는 1대의 멀린 헬기를 탑재한다.
2015-03-30 09:52미국의 나이트 옵틱스(Night Optics)사가 요르단에 단안경 형태의 PVS-14(Sentry 14) 야간투시경장비 2,000대를 제공하기 위해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약 875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작업완료 기한은 2015년 8월 16일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현재 이 제품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동맹국이 사용하고 있으며, 휴대형 또는 핸즈프리(hands-free) 방식의 단안경으로서, 주간 근접전투 조준경과 결합하여 야간투시무기체계로 사용되고 있다.PVS-14 야간투시경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제어장치는 OFF/ON/일시·상시 적외선 모드 등 3개선택 스위치가 포함되어 있다. 영상튜브는 자동 밝기 제어 기능을 특징으로 하며, 밝은 빛에우발적으로 노출될 경우에는 수초 내에 장비를 차단하는 완전자동화 센서로 보호된다. 단안경을 머리나 헬멧 설치대에서 제거하거나 ‘UP’ 위치로움직이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진다.
2015-03-30 09:42말레이시아 하이테크(HeiTech Defence Systems)사가 정비지원 모의훈련장비(SIMA)를 이용하여정비병들의 수호이(Sukhoi) Su-30MKM 전투기 정비를 지원하고 있다. Su-30 전투기의 구성품 수리 및 교체와 관련하여 학습할 수 있는 몰입형 가상 훈련환경을 제공한다. 훈련체계에는 3D 고글을 사용한 고충실도 가상 시각화 기법을 사용한다.하이테크사는 SIMA를 Su-30 전투기 외 미래 다른 항공기 형태에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이테크사는 2015 LIMA 전시회에서 통합전술훈련·지휘통제체계(ITACCS)도 전시하였다.이 체계는 2014년 10월 말레이시아 공군 방공학교에서 계획· 모의·운용도구로 채택하였다. 이 체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항공기 및 방공체계 성능을 정확하게 모의훈련이 가능하게 되었다.용어설명※ SIMA : Simulated Interactive Maintenance Aid※ ITACCS : Integrated Tactical Training Command Control System
2015-03-30 09:36네덜란드 국방부가 스웨덴 BAE시스템스 해글룬츠(Hägglunds)사와 Bv206 전지형차량 총 95대에대한 중간수명주기 성능개량계약을 체결했다고 BAE사가 3월 9일 발표했다.시제 1대와 연속생산 전 차량 6대를 납품하며, 추가 88대는 옵션계약으로 체결됐다.중간수명주기 성능개량에는 차량 전기계통·궤도·변속기·엔진 교체와 기타 하위체계에 대한 수리가 포함되어 있다.Bv206은 궤도형 굴절식 전지형주행차량으로극지에서 순찰과 구조 작전에 적합하며, 병력수송장갑차 버전의 경우 다양한 지형과 극한기상조건에서도 완전무장병력 12명 수송 가능히다.BAE사는 40여 국가에 Bv206 11,000대 이상을 납품할 예정이다.
2015-03-28 15:22에어버스헬리콥터 미국 지사가 헬기 안전진단 및 비행데이터모니터 복합장비(HFDM)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올해중울트라(Ultra Electronics-Flightline Systems)사와 함께 FAR Part 27 및 Part 29 규격에 충족하는표준장비로서의 인증 가능성을 시험평가할 계획이다.FAR Part 27은 미국의 연방항공청의 7,000lbs 이하의 일반 회전익 항공기에 대한 인증 규격이며, Part 29는 20,000lbs이상의 운송용 회전익 항공기에 대한 인증 규격이다.이 장비는 경(light)헬기 및 중형(medium)헬기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항공기 상태를 실시간진단하여 운용을 최적화하고 부품 및 정비 소요를 판단하여 가용도를 최대로 높이는 데 기여를 한다.에어버스 미국 지사는 복합 HFDM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FAA 인증을 획득하게 되면 최초의헬기용 HFDM 전문화 생산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한다.HUMS는 엔진과 기어박스, 로터의 진동(track balance) 등의 상태를 모니터/기록하고 분석하는탑재 장비로서, 1990년대 해양 운용 헬기에 적용되기시작하여 지금은 대부분의 항공기에 적용되고 있다.HFDM은 HUMS와 FDM을
2015-03-27 19:43EXPAL사가 트럭 탑재형 EIMOS 81mm 박격포 체계 첫 번째 생산분을 납품했으며, 구매자나수주한 장비의 수량 또는 가격 관련 세부사항은 공개를 거부하였다. 납품 목록에는 EXPAL사의 테크파이어(Techfire) 화력지원체계, 맹금류 형태의 셰퍼드(Shepherd)-MIL 무인정찰항공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이 경량 다목적 4×4 ST5 버전은 차량의 크기가 크며, 스페인 육군이 이미 운용하고 있는데,탑승공간이 2명에서 4명 수용 가능하도록 보다 넓어지고 신형 센서가 통합되었으며, 인체공학적 설계측면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EIMOS 박격포체계는 2014년 3월 칠레 전시회에서 선보였으며, 81mm 버전은 무게40kg, 사거리 6,900m로 분당 25발 발사가 가능하고, 60mm 버전의 경우 무게18.9kg, 사거리 4,900m로 분당 35발 발사가 가능하다.
2015-03-27 19:33이란은 2015년 3월 14일 국방장관과 군 고위 지휘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된 행사를 기점으로콰디르(Qadir) 장거리 순항미사일의 양산에 착수했다.콰디르 미사일은 신속히 전개하여 단시간 내에 대응할 수 있고, 저고도 비행, 높은 항법 정밀도, 고도로정확한 표적공격능력, 막강한 파괴력, 첨단화된 대전자전 및 항(抗) 재밍체계, 첨단 레이더체계 등을 갖춘것이 특징이다.콰디르 미사일의 사거리는 300km이며, 다양한 형태의 함정과 헬기에서 사격이 가능하다.이란 국방장관은 다양한 형태의 미사일 제작에 있어서 이란의 자립도가 지역내 최고 수준임을 강조하였다. 이무기는 정확도가 높고, 반응시간이 빠르며,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공중·해상·지상에서 이란 군의전투력이 획기적으로 강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콰디르 사업으로 Fateh 110 단거리 미사일, Qiam 탄도미사일,Qadr 1세대 공대지 미사일 등 노후되고 정확도가 낮은 미사일은퇴역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5-03-27 17:52미 해병대가 7,340만 달러 규모의 계약조건에 따라 콜스만(Kollsman)사에게 크기가 작은 휴대형전술용 레이저거리측정기 1,500대를 제작하도록 요청하였다고 밝혔다.휴대형 CLRF-IC(Common Laser Range Finder-Integrated Capability) 레이저 거리측정기는 해병대가주·야간, 악기상 속에서도 표적을 탐지·식별 및 정밀 조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콜스만사는 이스라엘 엘비트 시스템사의 자회사이다.CLRF-IC 체계는 현재 해병대에 배치된 CLRF 장비세트를 대체할 예정이다.신형 CLRF-IC 체계는 CLRF 세트의 구성품을 1개의 체계에 통합함으로써 중량 감소, 정밀성 증대, 야간투시능력 개선, 비자기식 방위각 능력 향상을 도모한다.물체까지의 거리·방향·수직각을 측정하여 운용자가 표적의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측정값을 디지털 포맷으로 외부 디지털 장비로 송신하여추가적인 처리가 가능하다.CLRF-IC 체계는 경량 개인휴대형 GPS 표적 위치결정 장비로서2020년 3월 완료 예정이다.
2015-03-27 17:02